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고등학교 (ORM 2021-57-2)
  • ◈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주요 결과
    2020년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는 212개 고등학교 10,526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국어교과의 4수준, 3수준, 2수준, 1수준 학생의 비율은 각각 23.3%, 46.4%, 23.4%, 6.8%로 나타났으며, 수학교과의 4수준, 3수준, 2수준, 1수준 학생의 비율은 29.0%, 31.8%, 25.7%, 13.5%로 나타났다. 영어교과의 4수준, 3수준, 2수준, 1수준 학생의 비율은 각각 37.1%, 39.6%, 14.7%, 8.6%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4수준의 남학생과 여학생 비율이 국어는 각각 17.2%, 29.9%, 수학은 29.8%, 28.1%, 영어는 32.1%, 42.4%로 나타났으며, 1수준의 남학생과 여학생 비율은 국어에서 각각 10.8%, 2.6%, 수학에서 16.3%, 10.6%, 영어에서 12.8%, 4.1%로 나타났다. 지역규모별로 살펴보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별 4수준 학생 비율은 국어에서 각각 26.4%, 22.1%, 18.9%, 수학은 33.7%, 26.4%, 24.5%, 영어는 43.0%, 35.0%, 27.9%로 나타났으며,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별 1수준 학생 비율은 국어에서 각각 7.9%, 5.9%, 6.6%, 수학에서 13.7%, 13.3%, 13.7%, 영어에서 9.6%, 7.8%, 8.1%로 나타났다.
    ◈ 학교 특성과 학업성취도
    교육비 및 교육급여 지원 대상 학생, 다문화 학생 등 사회·문화적 소외계층 비율이 높을수록 4수준 학생 비율은 낮고, 1수준 학생 비율은 높은 경향이 있었다.
    학교풍토에 따른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세 교과 모두 학생풍토, 학부모 풍토가 높을수록 4수준 학생 비율이 높고 1수준 학생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교사풍토가 높을수록 1수준 학생 비율이 낮게 나타난 것은 다른 결과와 일치하였으나, 4수준 학생 비율은 비슷하거나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학교 운영을 위한 중점 수행 항목으로 선택한 비율을 살펴보면, ‘학생의 인성 및 정서 함양 교육 지원’, ‘교직원 인화 및 협력 분위기 조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중점 정도는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95% 이상의 학교가 ‘많이 중점을 둔다’ 이상으로 응답하였다.
    학습부진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 대부분의 학교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상급학교 진학 안내, 진로 관련 검사 및 학생 개별 상담, 진로 관련 체험 활동 계획·운영 등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99% 이상으로 나타났다.
    ◈ 교사 특성과 학업성취도
    수학, 영어 교과에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어려움 가운데 학생들의 학습 능력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체로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크게 느끼지 않는 교사에 속하는 학생들의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련 문서, 교과서/지도서, 인터넷/IT 기자재 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가운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자료는 국어 및 수학교과의 경우 교과서/지도서였으며 영어교과의 경우 직접 제작한 수업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활용과 관련하여, 모든 교과에서 ‘학생의 학습 수준 파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수업 지원 항목별 중요도의 경우, 모든 항목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원격수업 지원 항목별 준비도의 경우, 온라인 플랫폼은 약 60~70%의 교사들이 준비되었다고 인식한 반면, ‘원격수업 자료의 안전한 제공을 위한 법적 제도 지원‘은 20~40%의 교사들이 준비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 외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약 40~60%의 교사들이 준비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원격수업 지원 항목별 준비도가 충분하다고 인식할수록 1수준 학생의 비율이 낮았다.
    원격수업 유형별 활용 비율은 모든 교과에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약 25%, 교사 본인이 직접 제작하여 학습 내용을 설명하는 수업 영상 활용 중심이 약 40%, 교사 본인이 제작하지 않은 외부 수업 영상 활용 중심이 약 20%,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이 약 10%로 나타났다. 원격수업 유형과 성취수준 비율 간 관련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원격수업 학습 자원 사용 빈도는 모든 교과에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자료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수업 학습 자원 사용 빈도와 성취수준 비율간 관련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학생 특성과 학업성취도
    학생의 가정환경 특성으로 부모 및 가족과 활동 정도, 도서 보유 정도, 자율적 학습시간에 따라 성취수준 비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교생활, 교우관계 등 가족과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가정에서 보유한 도서가 많을수록, 자율적 학습시간이 긴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은 더 낮게 나타났다.
    심리적응도와 교육환경 만족도로 구성된 학교생활 행복도에 따른 성취수준 비율 분석 결과, 학교생활 행복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은 낮았다. 수업준비 및 참여도가 높을수록, 학생-교사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사용할 때 사용 목적에 따른 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 게임이나 음악 감상 등 여가를 위한 목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시사 검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1시간 미만으로 사용하는 집단의 4수준 학생 비율이 가장 높고 3시간 이상 사용하는 집단의 4수준 학생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습전략과 관련하여, 자신의 인지전략을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초인지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인지전략 및 초인지 모두 높은 수준이라고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분석 결과, 국어와 영어 교과에서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학습의욕은 높은 반면 자신감과 흥미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수학 교과에서는 학습의욕이 높으나 자신감과 흥미가 낮은 것은 다른 과목과 유사했으나, 가치 인식이 다른 교과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고 1수준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원격수업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원격수업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선생님이 직접 제작하는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 가장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원격수업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1수준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다양한 원격수업 상황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1수준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원격수업을 통해서도 선생님으로부터 배우고, 학교 친구들과 함께 학습한다는 기분이 든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선생님으로부터 배운다는 기분이 든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1수준 비율이 낮게 나타난 반면, 친구들과 함께 학습한다는 기분이 든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4수준 비율과 1수준 비율이 모두 낮아졌다.
    원격수업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원격수업 상황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족한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1수준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단, 4수준 비율은 유사하였다. 다음으로, 2019년 등교수업과 비교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습의 양, 학교에서 제공하는 과제의 양, 수업·생활 및 전반·진로지도와 관련된 선생님과의 의사소통, 학습에 대한 흥미, 친구와의 교류, 규칙적인 생활, 학교에 대한 소속감에 대해 동일하거나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수업 집중도, 사교육에 사용하는 시간, 학교 성적에 대한 불안감, 자기주도 학습시간은 동일하거나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