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제어(Mobile robotics)등 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활용으로 노동의 대체에 대한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과거에는 사람이 할 수 있는 고유의 영역이라고 생각되던 고차원적 사고가 필요한 직업, 숙련도가 필요한 직업 등 많은 직업이 점점 대체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하 본문 참고>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6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0
제2장 노동시장 및 인구전망 25
제1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 - 고용노동부 25
제2절 2018 한국의 직업정보(2019) - 한국고용정보원 30
제3절 인구정망 37
제3장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43
제1절 분석자료 43
제2절 분석방법 48
제4장 분석결과 57
제1절 주성분 분석결과 57
제2절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66
제3절 직업별 대체확률 67
제4절 대체확률에 따른 직부특성 분석 72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79
제1절 결론 79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안 80
제3절 정책제언 82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