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책연구동향

연구보고서

보고서명한국형 발전모델의 탐색과 성장동력 정책의 전환
  • 책임자 최병삼
  • 소속기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배용호,김석관,양희태,엄미정,김가은,이예원,추수진,김단비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ISBN978-89-6112-634-2
  • 출판년도2019
  • 페이지706
  •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과학기술 > 과학기술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성장동력. 혁신성장. 정책 평가. 자본주의 다양성. 디지털전환
  • [연구목적]
    □ 대내외적 환경이 급변하고 우리나라 경제와 산업이 과거보다 성장하였으며, 기존 성장동력 정책의 성과가 미흡하였으므로 성장동력 정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함
    □ 본 연구는 장기적인 한국산업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성장동력 정책의 논의 범위를 성장동력 선정 및 육성 관련 정책에서 국가경제 발전모델, 글로벌 경쟁분석 등으로 확장하며, 기존 성장동력 정책의 개선보다는 방향 전환 또는 확장을 지향



    [주요내용]
    □ 연구의 주제는 한국형 발전모델을 탐색하고 성장동력 정책의 전환을 제안하는 것
    □ 한국형 발전모델의 탐색
    ㅇ 3장에서 한국경제의 성장경로와 특성을 분석하고 4장에서 글로벌 경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5장에서 우리나라 산업의 미래 모습을 고찰
    - 우리가 현재 취약한 분야, 우리가 현재 경쟁력을 보유한 기존 산업의 인접분야, 산업 간 연계 등으로 성장동력 후보군을 다원화할 필요
    - 예를 들어,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우리나라가 지향할 모습을 갖춘 몇몇 선진국의 산업구조와 비교할 때, 소재, 부품, 장비 등 상류 산업재 부문(B2B), 소비재 부문(B2C), 금융 등의 서비스 부문에서 기존 기업의 성장과 신규 기업의 등장이 필요
    □ 성장동력 정책의 전환
    ㅇ 2장에서 기존 성장동력 정책을 정책 형성, 정책 집행, 정책 평가 관점에서 평가: 과거 성장동력 정책의 성과가 낮았던 원인은 협소한 정책 범위와 수단
    ㅇ 정책의 목표, 주체, 수단, 공간, 기간, 대상 등에서 관점의 전환 또는 확장이 필요함을 제안
    - 고성장 위주에서 성장의 안정화, 고수익화, 내실화로 확장
    - 정부 주도, 민간 참여에서 민간 주도, 정부 참여로 전환
    - 성장의 주체를 중소기업, 스타트업 중심에서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의 협업체제로 확장
    - 정책 수단을 R&D 위주에서 협력 촉진, 제도 개선, 공공구매 등 비R&D로 확장
    - 정책 대상을 신규 산업 발굴에서 기존 산업 고부가가치화(디지털 전환)로,고성장 산업에서 내실화 산업으로, 개별 산업에서 솔루션/패키지로 확장



    [정책대안]
    □ 성장동력 대상 발굴 측면에서는 R&D 중심의 장기적인 성장동력 육성에서 장기와 단기의 제반 정책을 아우르는 성장동력 정책으로 전환
    □ 성장동력 정책 추진 측면에서는 성장동력 정책이 연구개발정책, 산업정책, 경제정책 등을 포함해야 함
    □ 성장동력 분야 선정, 추진체계, 지원 방식 등 개별 요소 차원에서 기존 성장동력 정책을 개선하기보다는 설계, 추진, 평가 등 성장동력 정책의 전주기의 일관성을 높이고, 성장동력 정책과 기타 다른 정책과의 정합성을 높이며, 성장동력 각 분야에서의 성공뿐 아니라 산업 포트폴리오를 연계하여 전체 경제의 성과 제고를 추구해야 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