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책연구동향

연구보고서

보고서명인체위해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미세먼지 구성성분별 건강영향 연구 보고서명(영문)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M2.5 constituents for health risk reduction management plan
  • 책임자 배현주
  • 소속기관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이승민,정다운,오규림,김시진
  • 외부연구참여자이종태
  •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 ISBN979-11-5980-325-3
  • 출판년도2019
  • 페이지90
  • 보고서유형 수시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환경 > 대기오염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미세먼지(PM2.5) 구성성분, 건강영향, 인체 위해성, 미세먼지 관리정책
  •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그리고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증가함
    - 대기질을 개선하고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부담을 경감시키고자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환경정책들을 시행
    ㅇ 미세먼지(PM2.5)는 입자의 크기 2.5㎛ 이하로 매우 작아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인체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ㅇ 미세먼지(PM2.5)의 발생원과 구성성분에 따라 건강위해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인체 위해 측면의 관리를 위해서는 미세먼지(PM2.5)의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

    · 연구목적
    ㅇ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
    ㅇ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에 따른 건강영향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인체 위해성이 높은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에 대한 우선적 관리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미세먼지(PM2.5) 질적 관리정책 방안 제안

    Ⅱ. 미세먼지의 구성성분 및 건강영향 사례연구
    · 미세먼지(PM2.5)는 50개 이상의 화학적 성분의 복합 혼합물로, 발생원에 따라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차이
    ㅇ 탄소성분(EC, OC), 금속성분(Al, Ba, Be, Ca2+, Cd, Cr, Cu, Fe, Mg2+ 등), 이온성분(NO3, SO42, NH+, Cl-, Br, Na+, K+, Ca2+, Mg2+) 등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
    ㅇ 국내 미세먼지(PM2.5)의 주요성분은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 유기탄소, 원소탄소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각 주요성분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이
    - 서울, 인천과 광주의 경우 유기탄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대전, 부산, 청주 등의 도시에서는 황산염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미세먼지(PM2.5) 발생 기여도 분석에 있어 상이한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오염원의 분포는 계절이나 기상현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과 유럽의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건강영향 연구 사례 분석
    ㅇ 미국 건강영향연구소(HEI: Health Effects Institute)는 미세먼지 구성성분에 의한 건강영향에 대한 통합적 역학 및 독성 연구 등 4개의 연구로 구성
    - 시계열 분석 결과 미세먼지(PM2.5)와 가스상 오염 물질의 성분은 미세먼지(PM2.5) 질량 농도와 같이 건강영향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임
    ㅇ 미국 국가대기환경기준의 통합과학평가(ISA: Integrated Science Assessment)는미세먼지(PM2.5) 구성 성분과 사망률 관계에 대한 검토에서 미세먼지(PM2.5) 질량과 비교하여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 농도와 비율에 의한 사망률과 관련성 확인
    ㅇ 유럽 MED-PARTICLES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유럽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지중해 연안 국가 14개 도시의 미세먼지 구성성분의 특성을 파악

    ·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단기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
    ㅇ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위험도는 지역이나 사망원인, 질병원인, 계절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


    Ⅲ. 미세먼지 구성성분의 특성분석
    · 서울시 미세먼지(PM2.5) 농도 특성 파악
    ㅇ2015~2017년 서울시 미세먼지(PM2.5)의 연평균 농도 값은 2016년에 26.29㎍/㎥로 가장 높았음
    ㅇ 서울시 북동지역의 미세먼지(PM2.5) 농도분포가 다른 지역보다 낮은 패턴을 보였으며 남서지역의 미세먼지(PM2.5) 농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패턴을 보임

    · 2015년과 2016년의 배출원별 전국과 서울시의 미세먼지(PM2.5) 배출특성 파악
    ㅇ 전국 미세먼지(PM2.5) 총배출량은 2015년 98,806톤에서 2016년 100,247톤으로 증가한 반면 서울시의 경우 2015년(2,580톤)보다 2016년(2,524톤) 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다소 감소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탄소성분(OC, EC), 수용성 이온성분(NO3-, SO42-, NH4+), 금속이온성분(Ca2+, K+, Na+, Mg2+)의 특성 파악
    ㅇ 미세먼지(PM2.5)대비 비율을 살펴보면 탄소성분의 OC 비율이 평균 26%로 가장 높았으며 이온성분의 NO3-(20.54%)와 SO42-(16.57%)의 비율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ㅇ OC의 계절별 변화는 겨울(7.89㎍/㎥) > 봄(6.36㎍/㎥) > 가을(6.62㎍/㎥) > 여름(5.13㎍/㎥) 순으로 나타남
    ㅇ 미세먼지(PM2.5)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0.5이상)을 보인 것은 이온성분으로 중 NO3-(0.57)과 Cl-(0.84)이었으며 금속 이온성분 중 K+(0.79), Mg2+(0.65), Na+(0.67)임

    Ⅳ. 미세먼지 구성성분별 건강영향 평가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의 농도 증가로 인한 사망영향을 평가
    ㅇ 미세먼지의 구성성분에 따른 전체원인 사망영향과 심혈관계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시계열 연구를 적용
    - 미세먼지 구성성분 : EC, OC, NO3-, SO42-, NH4+, Ca2+, Cl-, K+. Mg2+. Na+
    ㅇ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 중 EC와 OC는 전체 연령과 65세 이상 연령집단에서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임
    - EC와 OC의 전체원인 사망위험은 미세먼지(PM2.5)의 사망위험보다 높게 나타남
    ㅇ Cl-과 SO42-는 65세 미만 연령집단에서 전체원인 사망위험과 심혈관계 사망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임
    ㅇ Mg2+ 전체 연령과 65세 이상연령에서 전체원인 및 심혈관계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임

    Ⅴ. 수용체 중심의 미세먼지 관리정책 방안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정책 국외 사례 검토
    ㅇ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은 대기자원위원회(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를 설립하여 자동차 배기가스를 규제. BC 농도가 1960년 대 이후 90% 가까이 감소하면서 매년 약 5,000명의 조기 사망을 예방
    ㅇ 유럽연합은 대기환경 관리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01년 국가별 배출량 상한 지침(National Emission Ceilings Directive)을 채택하고 미세먼지(PM2.5) 배출 저감 조치를 취할 때 건강피해를 야기하는 블랙카본(Black Carbon) 검토를 명시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로 패러다임의 전환
    ㅇ 미세먼지 관리가 국민의 건강피해를 감소시키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로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

    · 인체위해성에 기반한 미세먼지 관리방안의 도입
    ㅇ 미세먼지와 구성성분의 측정 및 정보제공
    - 미세먼지(PM2.5) 구성성분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과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만, 미세먼지 관리의 기본적인 요소인 구성성분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구성성분 측정이 반드시 필요
    - 구성성분과 같이 세분화되고 과학적인 사용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
    ㅇ 미세먼지와 구성성분의 건강영향 평가
    - 미세먼지(PM2.5) 에 대한 양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를 위해 미세먼지(PM2.5) 배출원의 배출요인, 배출량, 구성성분별 농도 특성이 분석되어야 하며 이를 통한 인구집단의 미세먼지(PM2.5) 노출과 위해도 분석 필요
    ㅇ 인체위해 저감을 위한 배출원 맞춤형 관리대책 추진
    - 미세먼지(PM2.5)와 구성성분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하여 관리대책의 추진 가능 범위를 확인. 배출원의 위치, 배출오염물질과 같은 다양한 제한요인을 고려하여 지역별 배출원 맞춤형 관리대책 추진
    - 국내에 타당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미세먼지(PM2.5)의 배출원 기여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음

    <이하 원문 확인>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