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한국 인문학 정책 연구: 성찰과 대안
  • 책임자 송승철
  • 소속기관강원도립대학
  • 내부연구참여자
  • 외부연구참여자강부원,김지원,김하림,양일모,이나미,장은주,정종은,정한울,조주연,차주항,천정환,현남숙,김민정
  •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ISBN
  • 출판년도2019
  • 페이지335
  • 보고서유형 연구회보고서
  • 연구유형 기타
  • 표준분류 종합일반 > 종합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 주제어인문정책, 인문학 위기, 인문융합, 인문혁신, 학문후속세대, 여성 인문학자, 시민 인문학, 인문교육,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인문융합혁신연구원
  • 이 보고서의 배경과 목적은 “한국인문학정책연구: 성찰과 대안”이라는 제명에 이미 함축되어 있다. 즉, 현재의 인문학 위기 상황을 분석하되, 위기를 야기한 여러 원인들―좁게는 한국 인문학계의 내적 관행과 제도, 정부의 인문학 정책, 넓게는 위기를 야기한 장기역사적, 전 지구적, 종합국면적 변화―을 ‘성찰’한 후, 이 성찰에 기초하여 실효성 있는 ‘대안’을 개진하고, 결론에서는 대안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세 가지 실천적 과제에 특히 주목하였다. 첫째,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 인문학계의 제도와 관행을 혁신하는 “새로운 인문학으로의 선회”를 강조할 것이다. 인문학 위기의 외적 요인이 국민국가의 쇠퇴, 신자유주의 세계화, 그리고 생명공학 및 정보기술의 발달이라면, 인문학 위기의 내적 요인은 인문학 내부의 분과학문별 “전문화”와 “폐쇄성”이다. 현재의 인문학은 외부적 지원 없이는 위기 극복이 어려운 심란한 상황인데, 그러나 진정한 극복을 위해서는 “개방과 융합”을 통한 “새로운 인문학”으로의 방향정립이 분명한 대안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위기적 상황에서 가장 피해가 큰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실상 파악과 대책을 마련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두 가지 접근방식을 사용하였다. 우선, 비정규적 박사 300명에 대한 양적, 질적 조사를 수행했는데, 그 결과 인문학 전공자들은, 예를 들면 사회과학 전공자들에 비해 학자로서의 정체성과 생존 측면에서 실제 위기를 겪고 있으며, 인문학자로서의 열정과 정체성을 뒷받침할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점도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동시에 기존의 국내 인문학 진흥 관련 연구와 정책적 개입을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인문교육과 함께 그동안 연구에서 줄곧 소외되어 왔던 여성 인문학과 시민 인문학에 주목하여 실상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인문교육 정책의 핵심을 ‘인문융합’으로 보고, 이를 중등교육과정에서부터 민주시민교육과 인문학의 융복합화를 제안하였다. ‘여성 인문학자’의 경우, 연구자 간의 젠더평등과 “새로운 인문학”을 위해 여성 연구자를 위한 정책 도입을 주장했고, ‘시민 인문학’의 경우, 인문학의 공공재적 성격을 회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도록 ‘학산정(학술계-산업계-정부) 연계 모델로서의 시민 인문학’을 제안하였다. 즉, 각자가 처한 고유한 입지와 목표 속에서 정부, 산업계, 학술계는 현 단계 한국사회의 위기 극복의 차원에서 시민 인문학 프로젝트를 가동해야 한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해외사례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중국, 일본의 6개국에서 시행된 인문교육 정책 및 인문학 지원기관에 대해 검토하였는데, 미국식의 시민사회 주도의 인문정책은 우리 실정과 많이 다르며, 현 상황에서는 프랑스, 일본, 중국 등 국가주도형 정책이 인문학 진흥에 더 효율적임을 주장하였다.
    셋째, 인문학의 발전을 위해 외부지원이 필수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기업-시민사회로 이어지는 인문학 생태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목적과 실천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는 국가정책을 통해 변화를 선도하고 추진할 컨트롤타워로서 “인문융합혁신연구원”(가칭)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 보고서가 하나의 안으로 그치지 않고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인문융합혁신연구원의 ‘미션ㆍ비전ㆍ핵심가치’, 인문융합혁신연구원의 ‘전략분야와 주요과제’ 및 인문융합혁신연구원의 ‘조직구성과 추진 로드맵’ 등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인문융합혁신연구원’은 인문학이 내적으로는 21세기의 변화된 지평에서 새롭게 등장한 의제들에 스스로를 개방하고, 타 학문과 융합하도록 지원하며, 외적으로는 사회적 요청에 대응하여 인문정책과 여타 정책 사이의 절합―예를 들면, ‘인문-경제’, ‘인문-과학기술’, ‘인문-노동/사회통합’ 등과―을 비롯하여, 학문후속세대 양성과 소외 인문학 집단 지원, 정부-기업-민간을 잇는 튼실한 인문학 생태계 실현을 정책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담론으로서의 인문학의 위상과 실천성을 제고할 것이고, 다른 한편 정부정책과 사회정책의 수립에 ‘인문학’적 관점과 방향을 확산함으로써 경제성장만으로는 불가능한 21세기 한국사회의 제반 갈등 해소에 공헌할 것이다.

    <이하 원문 확인>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