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글로벌역량 교육 정책 및 실태 분석을 위한 국제 협동연구(Ⅱ) : 교사 요인을 중심으로(RRC 2018-4) 보고서명(영문)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of GCED Policy and Practice (Ⅱ) : Based on Teacher Constructs
  • 책임자 이혜원
  • 소속기관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내부연구참여자이수정,강신애,박지윤,문이슬
  • 외부연구참여자김형렬,박찬호,Jun Morohashi,Lay Cheng Tan
  • 발행기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ISBN979-11-5788-734-7
  • 출판년도2018
  • 페이지368
  •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기초
  • 표준분류 교육 > 초중고교육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 주제어글로벌역량 교육 정책 실태분석 국제 협동연구 교사요인
  • ‘글로벌역량 교육 정책 및 실태 분석을 위한 국제 협동연구(Ⅱ): 교사 요인을 중심으로’는 ‘글로벌역량 교육 정책 및 실태 분석을 위한 국제 협동연구(Ⅰ)’의 2년차 연구로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8년도 ‘기본과제’ 중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글로벌역량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요인을 중심으로 글로벌역량 교육 정책 및 실태를 분석하여 글로벌역량 교육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제고하고 글로벌역량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보고서의 각 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1, 2년차 연구 개요, 연구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배경을 글로벌역량 교육의 현황과 글로벌역량 교사 관련 문헌 및 정책을 포함하여 논의하고 본 연구의 주제 선정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1, 2차년도 연구의 개념화와 연구 개요를 제시하고 본 연구의 목적,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특성을 1차년도 연구의 특성과 함께 논의하였다. 1차년도 연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갖는 본 연구의 세 가지 특성은 첫째, 네 명의 사례교사 기반의 탐색적, 경험적 사례 연구 수행, 둘째, 자연접근적 분석을 통한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 도출, 셋째,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모두 활용한 자료 분석 방법이다.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개념틀을 정립하였다. 먼저 글로벌역량 교육 및 교사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하였다. 첫 번째, 21세기를 위한 교육과 교사, 글로벌역량 교육과 교사, 글로벌역량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두 번째, 1차년도 연구에서 개발한 글로벌역량 개념틀의 17개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글로벌역량 교육과 교사, 교사 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17개 핵심요소를 인지적, 사회·정서적, 행동적 영역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세 번째,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이론적 근거를 집중 분석하였다. 교사 요인의 이론적 근거는 최종본으로 산출된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세 가지 요소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이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된 이론적 고찰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된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개념틀을 제시하였다.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 개념틀은 세 가지 요소와 12개 세부요소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정의와 영역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연구 설계를 논의하였다. 첫째,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의 개념틀 도출 과정 및 방법을 여섯 단계로 제시하고 단계별 논의 사항을 설명하였다. KICE-UNESCO Bangkok International Workshop(1차)과 국내·외 전문가 자문 그룹 대상 1차 의견 조사를 통한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 개념틀의 최종본 산출 과정을 포함하였다. 둘째, 자료 수집 과정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 개념틀을 토대로 개발된 심층면담 질문지의 목적과 원칙을 설명하고, 집중분석 대상인 네 명의 사례교사의 선정 원칙 및 절차와 사례교사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네 개 국가의 네 개 학교 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 일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자료인 네 명의 사례교사와의 심층면담 및 수업 자료의 예시와 함께 자료 분석 과정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KICE-UNESCO Bangkok International Workshop(2차)에서 논의된 사항과 국내·외 전문가 자문 그룹 대상 2차 의견 조사 방법, 분석결과, 제언 도출 과정 및 방법을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논의하였다. 분석결과는 글로벌역량 교사 요인 개념틀의 세 가지 요소인 개인적·성향적 요소, 교육론적·교수적 요소, 환경적·맥락적 요소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각 요소별 논의는 한국, 미국, 영국, 태국의 집중분석 대상인 네 명의 사례교사에 대한 양적 분석결과와 질적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각 교사별 교사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요약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논의는 네 명의 사례교사와의 심층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수업관찰 및 학생, 동료교사, 전문가 등과의 면담 등 일부 기타 자료를 추가 활용하였다.

    5장에서는 글로벌역량 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교사의 요건(5C), 글로벌역량 교육의 실제 구현과정 중 나타난 세 가지 우수한 특성(3GCED), 글로벌역량 교육 및 글로벌역량 교사와 관련된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는 분석결과와 종합하여 제언과 실행방안을 도출하기 위함으로, 첫째, 네 명의 사례교사의 교사 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글로벌역량 교사의 다섯 가지 공통점을 도출하고 이를 글로벌역량 교육을 위한 교사의 요건(5C)으로 제시하였다. 5C는 교수 능력, 상호적 의사소통 능력, 연계 능력, 비판적 사고와 행동 능력, 협력적 계발 능력의 다섯 가지를 포함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춘 글로벌역량 교사가 구현한 세 가지 글로벌역량 교육의 특성(3GCED)을 제시하였다. 3GCED는 글로컬하고, 변혁적이며, 지속가능한 글로벌역량 교육을 포함하였다. 셋째, 모든 교사들의 5C 함양과 글로컬하고 변혁적이며 지속가능한 글로벌역량 교육의 실천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해결 과제들을 사례교사들과 국내 현장교사들이 제기한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기대효과 및 과제를 제시하고 제언과 실행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네 가지 제언은 첫째, 미래교육의 패러다임과 연계한 글로벌역량 교육 생태계 조성, 둘째, 교육체계 내 민주적 글로벌역량 교육 문화 구축, 셋째, 암묵적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교육 환경 수립, 넷째, 글로벌역량 교육 연구자로서의 교사 양성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 네 가지 제언을 위한 실행방안으로 연구 결과에 기반한 글로벌역량 교육 지식 창출 및 경험 공유를 제안하였다.

    <이하 원문 확인>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