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보고서명사회적 자본 확충을 통한 잠재성장력 제고방안
  • 연구의 배경
    우리나라의 성장잠재력이 둔화된다는 것은 Cobb-Douglas 생산함 수로 계측된 산출물의 증가가 둔화된다는 것이기 때문에 노동과 자본의 증가수준에서 원인을 찾게 됨. 그러나 또 다른 가능성은 총요소생산성에 문제가 없는지를 점검해 보는 것임.
    여기서 총요소생산성은 기술혁신 등도 포함되지만 법.제도와 같이 경제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변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됨.
    최근 들어 인적자본과 물적 자본에 이어 제3의 자본인 사회적 자 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본 연구의 배경은 경제성장을 추계하는 변수 중 하나인 총요소생 산성과 사회적 자본 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전제 하에 사회적 자본 확충이 우리나라의 성장잠재력을 제고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임.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성장잠재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제3 의 자본인 사회적 자본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사회적 자본 확충을 통한 잠재성장력 제고 방안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것임.
    지금까지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사회적 자 본과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관계를 면밀히 분석한 자료는 많지 않음. 본 연구의 기본가정은 사회적 자본이 확충되면 총요소생 산성이 높아져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는 것임.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구성요 소에 대해 살펴보고 각 요소별로 그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 책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함.
    특히, 신뢰 및 규범과 상관관계가 큰 사회적 변수를 개인 간 네트워킹강화와 사회갈등완화에 중점을 두고 정책대안을 제시 하고자 함.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론적 검토
    사회적 자본의 정의
    사회적 자본이라는 용어는 1916년 하니판(Hanifan)이 처음 사용 하였으며, 이후 부르디외(Bourdieu, 1986)와 콜만(Coleman, 1988) 에 의해 정교화 되고 퍼트남(Putnam, 1995)과 후쿠야마(Fukuyama, 1995)는 사회적 자본의 논의를 보다 확장하였음.
    사회적 자본은 연구자들마다 그 강조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음.
    부르디외(Bourdieu, 1986) : 상호 면식이나 인정을 바탕으로 알고 지내는 사이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관계의 연결망을 통 해 얻을 수 있는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자원의 총합으로 정의함.
    콜만(Coleman, 1998) :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구조내의 관계 에서 발생하고, 관계 밖의 사람들에게는 해로울 경우라도 내부 행위자들의 목적 달성을 촉진하는 특성을 가지며, 그 기능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봄.
    <이하 원문 확인>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