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포용성장의 측정과 결정요인 분석
  • 책임자 김원규
  • 소속기관산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김진웅,노영진,홍성욱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산업연구원
  • ISBN979-11-88964-42-0
  • 출판년도2018
  • 페이지109
  • 보고서유형 수시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기타
  • 표준분류 산업 > 산업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포용성장
  •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포용성장의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도 저성장 기조의 탈피와 소득불균형 해소를 위해 포용성장의 적극적 추진이 요구됨.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포용성장 추진 필요성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의 포용성장지수를 측정하였음.- Anand et al.(2013)에 기초하되 노동생산성·고용률·소득형평성 증가율의 합으로 포용성장지수를 정의하고 1990년 이후의 연도별 자료를 사용하여 포용성장지수를 측정하였음. ○ 1990년 이후의 포용성장 추이를 살펴보면, 포용성장지수가 등락을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하향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외환위기 시점인 1998년과 글로벌 금융위기 시점인 2009년을 제외하고는 포용성장지수가 양(+)의 부호를 보여 저소득층의 소득증가를 의미하는 <포용성장1>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 포용성장의 구성요인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1991~2016년 기간 동안 포용성장지수는 연평균 3.5%를 보인 가운데 고용률과 소득형평성의 기여도는 미흡한 반면, 노동생산성 기여도가 3.5%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1~2016년 기간 동안에는 포용성장지수가 2.1%로 둔화된 가운데 노동생산성·고용률·소득형평성 기여도는 모두 양의 부호를 보였으나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가 우리 경제의 포용성장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또한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우리나라의 연도별 자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책변수들과 포용성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음.

    <이하 원문 확인>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