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6차년도)
  • 책임자 김영환
  • 소속기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이윤준,김선우,이정우,전지은,황은혜,홍정임,진우석
  • 외부연구참여자이태준
  • 발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ISBN
  • 출판년도2020
  • 페이지439
  •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기초
  • 표준분류 과학기술 > 과학기술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기업가정신, 혁신창업, 대시보드, 공공창업, 혁신창업가
  • 1. 서론
    □ 연구배경 및 목적
    ○기업가와 이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의 상호작용이 장기적인 기업가적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법, 재정정책, 조세, 교육 시스템, 공공 인프라,
    사회문화적 요소 등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 ‘기업가적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의 개념과 중요성이 각광받기 시작함
    - 기업가적생태계 연구는 2010년대에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Cohen(2006)과 Isenberg(2011)의 생태계 개념 및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소개에서부터, 기업가적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 조직, 제도, 자원 간의
    상호작용 및 공진화, 생태계의 진화과정에 대한 탐구에까지 이르렀음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적생태계(혁신창업생태계)의 성과 진단을 위해 기업성과 뿐
    만 아니라 창업(가)성과, 환경 및 인프라 성과, 정책성과 등을 균형적으로 살펴봄
    [ 혁신창업생태계의 기업가적 성과 진단의 개념 ]
    ii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 연구범위 및 방법
    ○ 연구 프로세스
    - 기업가적생태계에 대한 기존의 국내·외 창업생태계 지표, 생태계 현황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및 2, 3차 데이터, 생태계 관련 학술논문 및 컨퍼런스 등의 발표
    자료 등 다양한 문헌을 분석하여 생태계 개념 및 구성요소 후보군 탐색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수준을 측정·진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부문) 및 측정
    지표를 발굴하고, 이를 혁신창업생태계 분석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발전
    - 분석 프레임워크 내 도출된 생태계 부문별 구성요소에 대해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 각 부문별 세부지표의 지표값을 측정
    - (정량분석) 각 지표값에 대한 시계열 차원 변화 및 상세·보완지표 분석을 통한
    생태계 부문 및 구성요소별 성과 진단
    - (정성분석) 부문별 핵심 이슈 발굴 및 전문가 대상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한
    근본원인 진단 및 해결방안 도출
    - 정량 및 정성분석 결과를 통한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종합 진단 및 성과 증진을
    위한 정책제언 제시
    [ 연구 프로세스 ]
    요 약 iii
    2.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프레임워크
    ○ 기업가정신 및 창업생태계 관련 다양한 선행연구(지수, 논문, 보고서, 통계 등)
    분석을 기반으로 새로운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
    - (1) 해외 주요 기업가정신·창업생태계 지수 및 보고서, (2) 국내 주요 기업가정
    신·창업생태계 보고서, (3) 국내 주요 기업가정신·창업생태계 관련 통계, (4)
    국내외 기업가정신·창업생태계 관련 학술논문 등의 선행연구들을 참고
    - 특히 Isenberg(2011)와 이정우 외(2018)에서 제시된 기업가정신 및 창업생태
    계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를 참고하여, 혁신창업생태계 10가지 핵심 부문으로
    (1) 기업가/창업, (2) 기업, (3) 자금, (4) 지원조직, (5) 기술/지식 인프라, (6)
    정책/규제, (7) 교육, (8) 문화/인식, (9) 기업가적 다양성, (10) 글로벌화 선정
    [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프레임워크와 구성요소 ]
    iv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구성요소 및 핵심 성과지표
    부문 구성요소 성과지표 출처
    1.기업가
    /창업
    1-1.기업가정신 개인의 기업가정신 수준(EO+EC+EA 평균) 기업가정신실태조사
    1-2.창업성과 창업기업 및 신설법인 수(분기별) 창업기업/신설법인동향
    1-3.창업동기 기회형 창업비중(복합형 포함) 창업기업실태조사
    1-4.창업의향 창업계획 여부(%) 기업가정신실태조사
    2.기업
    2-1.기업생존율 신생기업 생존율(1년/5년 생존율) 기업생멸행정통계
    2-2.신규고용 신생기업 종사자 수 기업생멸행정통계
    2-3.고성장기업 고성장창업기업(가젤) 수(20%성장률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2-4.유니콘기업 유니콘기업 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CB Insights
    3.자금
    3-1.벤처캐피탈 벤처캐피탈 신규 투자금액 및 투자기업 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
    3-2.엔젤투자 엔젤 신규 투자금액 및 투자기업 수 중기부 보도자료
    3-3.크라우드펀딩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성공금액 및 건수 크라우드넷
    3-4.EXIT M&A 및 IPO(코스닥+코넥스상장) 건수 플래텀/한국거래소
    4.지원조직
    4-1.액셀러레이터 중기부 등록 액셀러레이터 수 K-Startup
    4-2.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 및 입주기업 수 Bi-Net
    4-3.코워킹스페이스 전국의 공유오피스 수 네모 어플리케이션
    4-4.기업벤처링 기업벤처 수(ICV+ECV+CVC 합계) 이윤준 외(2019)
    5.기술/지식
    인프라
    5-1.공공기술이전 신규 공공기술이전 계약체결 건수 공공기술이전사업화조사
    5-2.연구소기업 연구개발특구 누적 연구소기업 설립 수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5-3.연구원창업 공공기술기반 신규창업/사업활동 기업 수 공공기술이전사업화조사
    5-4.기술혁신역량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개발전담조직 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6.정책/규제
    6-1.창업지원 연간 정부창업지원 규모(예산/사업 수) 중기부 사업 통합공고
    6-2.정책금융 중소기업 정책자금 및 신용보증 규모(조원) e-나라지표
    6-3.모태펀드 정부 모태펀드 조성 및 투자금액(조원) 한국벤처투자
    6-4.창업규제 한국의 창업 및 사업규제 수준(전세계순위) 세계은행(WBDB)
    7.교육
    7-1.창업교육 경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경험률(%) 기업가정신실태조사
    7-2.대학 창업교육 대학 창업강좌 개설 및 이수학생 수 대학산학협력활동실태조사
    7-3.창업친화 학사제도 창업휴학제 시행대학 및 신청학생 수 대학산학협력활동실태조사
    7-4.대학발 창업 대학발 창업기업(학생창업/교원창업) 수 대학산학협력활동실태조사
    8.문화/인식
    8-1.기회/역량 인식 개인의 기업가적 기회 및 역량 인식(%) GEM Global Report
    8-2.사회적 인식 개인의 창업가 경력 및 지위 인식(%) GEM Global Report
    8-3.실패 두려움 개인의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GEM Global Report
    8-4.생태계 인식 생태계평가(점)/1년후 긍정인식(%) 스타트업트렌드리포트
    9.기업가적
    다양성
    9-1.여성 기업가정신 여성 기업가정신 수준 및 창업기업 수(분기)
    기업가정신실태조사
    /창업기업동향
    9-2.세대별 기업가정신 청년 기업가정신 수준 및 창업기업 수(분기)
    9-3.지역별 기업가정신 지역 기업가정신 수준 및 창업기업 수(분기)
    9-4.소셜벤처/사회적기업 소셜벤처 및 사회적기업 수
    소셜벤처실태조사
    /사회적기업진흥원
    10.글로벌화
    10-1.해외진출 창업기업 중 해외진출 경험 비중(%) 창업기업실태조사
    10-2.외국인창업 투자/경영 사증(D-8,9) 체류 외국인 수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
    요 약 v
    3.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이슈: 부문별 대시보드
    (1) 기업가/창업 부문
    ○ 기업가정신
    ○ 창업성과
    ○ 창업동기
    ○ 창업의향
    vi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2) 기업 부문
    ○ 기업생존율
    ○ 신규고용
    ○ 고성장기업
    ○ 유니콘기업
    요 약 vii
    (3) 자금 부문
    ○ 벤처캐피탈
    ○ 엔젤투자
    ○ 크라우드펀딩
    ○ EXIT
    viii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4) 지원조직 부문
    ○ 액셀러레이터
    ○ 창업보육센터
    ○ 코워킹스페이스
    ○ 기업벤처링
    요 약 ix
    (5) 기술/지식 인프라 부문
    ○ 공공기술이전
    ○ 연구소기업
    ○ 공공기술기반 창업
    ○ 기술혁신역량
    x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6) 정책/규제 부문
    ○ 창업지원
    ○ 정책금융
    ○ 모태펀드
    ○ 창업규제
    요 약 xi
    (7) 교육 부문
    ○ 창업교육 경험
    ○ 대학 창업교육
    ○ 창업친화 학사제도
    ○ 대학발 창업
    xii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8) 문화/인식 부문
    ○ 기회/역량 인식
    ○ 사회적 인식
    ○ 실패 두려움
    ○ 생태계 인식
    요 약 xiii
    (9) 기업가적 다양성 부문
    ○ 여성 기업가정신
    ○ 세대별 기업가정신
    ○ 지역별 기업가정신
    ○ 소셜벤처/사회적기업
    xiv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10) 글로벌화 부문
    ○ 해외진출
    ○ 외국인창업
    4. 결론: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종합성과 진단 및 정책제언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종합성과 진단
    ○ 정량 분석: 혁신창업생태계 부문별 핵심 성과지표 측정 및 진단
    - 기업가/창업 부문: 기업가정신은 실천적 특성이 강하며, 창업의 질 향상 중
    - 기업 부문: 성장 및 생존의 완만한 증가 추세, 고용창출 효과는 부족
    - 자금 부문: VC, 엔젤 높은 성장세, 다양한 M&A 사례 탄생의 기대감
    - 지원조직 부문: 액셀러레이터 폭발적 증가세, CVC 본격 활성화 추세
    - 정책/규제 부문: 창업지원 예산 확대, 모태펀드 역대 최대 규모
    - 교육 부문: 대학 중심 공급 확대, 대중화 수준은 아직 낮은 편
    - 문화/인식 부문: 개인적 인식보다 사회적 인식, 생태계 참여자 인식 향상
    - 기업가적 다양성 부문: 성별, 세대별, 지역별 기업가정신/창업활동 격차 존재
    요 약 xv
    - 글로벌화 부문: 수출 외 해외진출 경험 극히 미미, 외국인 창업통계 부재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요약(정량 분석 기반) ]
    ○ 정성 분석: 혁신창업생태계 부문별 핵심 이슈 전문가 진단
    - 기업가/창업 부문: 소상공인/생계형 창업의 높은 비중, 창업의향-실행 간 간극
    - 기업 부문: 스케일업 지원정책 부족, 엘리트 중심의 유니콘 육성정책 문제
    - 자금 부문: 모태펀드 의존도 심화, M&A 대비 높은 IPO 비중
    - 지원조직 부문: 액셀러레이터 등록제도의 역효과(경쟁력 문제)
    - 정책/규제 부문: 정책예산 과다로 역효과, 규제해소 및 데이터 활용 부족
    - 교육 부문: 공급 중심의 획일화된 교육체계·내용, 생애주기별 교육체계 필요
    - 문화/인식 부문: 성공창업가 역할모델 부재, 실패극복·재창업 특화지원 필요
    xvi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 -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부문 구성요소 핵심이슈 진단 및 문제점
    향후
    전망
    1.기업
    가/
    창업
    1-1.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 인식개선의 한계 위험감수/도전정신 결여, 창업 준비 미흡 6.17
    1-2.창업성과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 소상공인, 생계형창업 비중 높음 7.50
    1-3.창업동기 생계창업 대비 기회창업 성공가능성 상반된 의견, 경계가 흐릿해짐 6.67
    1-4.창업의향 창업인식/관심과 계획/실행 간 간극 실전형 창업교육 필요, 창업애로 해소 5.17
    2.기업
    2-1.기업생존율 해외 주요국 대비 낮은 기업생존율 양적성장 중심 창업정책, 스케일업 부족 5.25
    2-2.신규고용 1인기업 증가, 낮은 고용효과 서비스자영업, 지식기반서비스업 활성화 4.25
    2-3.고성장기업 스케일업 핵심 애로 시장확보/판로개척, 글로벌화 등 5.75
    2-4.유니콘기업 유니콘 경쟁력, 유니콘 육성정책
    글로벌 비즈니스 부재, 엘리트중심의
    선택적 스타기업 육성의 부작용
    6.00
    3.자금
    3-1.벤처캐피탈 투자시장 문제, 대형 VC투자 부진
    모태펀드 의존, 단기적 위험관리, 클럽딜
    선호, 성공창업가 출신 투자자 부족
    8.40
    3-2.엔젤투자 엔젤투자 확대 및 대중화 일반대중보다 전문엔젤투자 육성 필요 7.40
    3-3.크라우드펀딩 초기기업 투자수단으로서 경쟁력 증권형펀딩제도의 주주관리 부담 5.20
    3-4.EXIT 회수시장 구조적 문제 높은 IPO 비중, 해외 M&A사례 증가
    7.60
    6.60
    4.지원
    조직
    4-1.액셀러레이터 액셀러레이터 등록제도 효과
    스타트업 투자보육 생태계 확대, 정부
    창업지원사업 운용사처럼 소극적 활동
    8.50
    4-2.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의 특성화/전문화 보육매니저의 전문성 문제, 낮은 임대료 4.67
    4-3.코워킹스페이스 공간제공 외 기업지원 특화 경쟁력 경쟁심화 속 브랜드/도심형 공간 인기 7.33
    4-4.기업벤처링 사내창업 인식수준, CVC 활성화 사내벤처보다 혁신, 까다로운 CVC 규정 7.50
    5.기술/
    지식
    인프라
    5-1.공공기술이전 공공기술이전 사업화 애로 공공기술 TRL, 연구기관 인센티브 부족 7.83
    5-2.연구소기업 연구소기업 설립요건, 경쟁력 강화 기술출자 지분율 문제, 매출실현 어려움 5.50
    5-3.연구원창업 연구자 직접창업 부진 높은 기회비용, 기관 지원 부족 6.00
    5-4.기술혁신역량 기업생존에 있어 기술경쟁력 중요성 4차 산업혁명 대비, 사업모델이 더 중요 7.67
    6.정책/
    규제
    6-1.창업지원 창업지원 예산규모, 집행 문제점
    예산과다로 비자발적 창업발생,
    정책자금 배분 철학과 전략 부재
    7.60
    6-2.정책금융 코로나19에 의한 정책자금 수요변화 사업성 악화로 정책금융 활용효과 감소 7.00
    6-3.모태펀드 모태펀드 운용, 민간주도 투자 활성화 산업/시장 수요기반 운용, 펀드 대형화 7.60
    6-4.창업규제 정부 규제 개선노력의 한계점 공무원 인식문제, 빅데이터 활용 부진 6.00
    7.교육
    7-1.창업교육 경험 창업교육(특히 대학 외) 대중화 생애주기별 교육 내용/수준 차별화 8.40
    7-2.대학 창업교육 대학 창업교육의 한계와 변화방향 정부주도의 양적성장, 실전교육 부족 8.60
    7-3.창업 학사제도 청년창업 경쟁력, 장려 필요성 청·장년 구분보다는 창업 준비 수준 중요 8.20
    7-4.대학발 창업 학생창업 대비 교원창업 부진 인센티브/제도 미비, 기회비용 문제 8.00
    8.문화/
    인식
    8-1.기회/역량 인식 기회 및 역량인식의 상대 중요도 아이디어/기술창업에 따라 중요도 차이 7.50
    8-2.사회적 인식 성공창업가 역할모델 필요성 성공스타트업 많으나 역할모델은 부재 7.25
    8-3.실패 두려움 실패 낙인효과와 사회안전망 부재 실패경험 공유 및 재창업 특화지원 필요 5.00
    8-4.생태계 인식 창업기업 근무환경 수준 및 편차 선도기업 제외 열악, 기업-구직자 간극 8.00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핵심 이슈 전문가 진단 요약(정성 분석 기반) ]
    요 약 xvii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증진을 위한 정책제언
    ○ 앞서 제시한 정량 및 정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을 위한 (1) 기업가 및 기업, (2) 창업환경, (3) 교육 및 인식, 4) 생태계 다양성의
    생태계 구분에 맞추어 아래와 같이 4가지 부문, 총 20개의 정책제언을 도출
    [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증진을 위한 정책제언 ]
    ○본 연구의 혁신창업생태계 프레임워크는 대시보드 개발을 통한 한국의 혁신창업
    생태계 현황을 한눈에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래의
    한계점도 고려하여 추후 연구에서 더 발전된 프레임워크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생태계 10대 부문별 세부요소 간 상호작용 및 연결성을 고려한 생태계 주요
    메커니즘 규명과 함께 보다 동적이며 복합적인 측정지표 설정 필요
    - 정첵제언에 있어 성과지표 분석 결과를 통한 단편적인 아이디어 제시를 넘어서
    다양한 외부환경 요인 및 한국의 창업생태계 특수성을 고려한 주요 생태계
    주체별 실천계획(Action Plan)이 도출되어야 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