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과학기술기반 미래연구사업(11차년도)
  • 책임자 최병삼
  • 소속기관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정일영,이광호,배용호,이제영,홍성민,김단비,이예원,김가은,추수진,진설아,황은혜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ISBN978-89-6112-651-9
  • 출판년도2019
  • 페이지756
  •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기초
  • 표준분류 과학기술 > 과학기술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미래연구,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시뮬레이션
  • 보고서번호 보고서명
    F19-06-01 총괄보고서
    F19-06-02 과학기술의 미래전망 : 합성생물학
    F19-06-03 과학기술의 미래전망 : 나노소재
    F19-06-04 과학기술의 미래전망 : 수소경제
    F19-06-05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기술혁신 수요 전망
    F19-06-06 모델링 기반 미래예측 : 과학기술의 일자리 영향

    [연구목적]
    □ 과학기술 기반 미래연구사업의 목적은 기술, 산업 등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 분석과 미래연구 방법론 및 연구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한국이 직면하게 될 미래를 전망하고 중장기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
    □ 11차년도 주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 과학기술에 대한 정책 효과 전망
    ㅇ 과학기술 미래전망: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에 대한 과거 전망의 오류 분석 및 미래 유망성을 객관적으로 전망
    ㅇ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 전망: 미국 소비자의 시간 사용 및 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소비자의 생활에 대해 예측 아니라 상상
    ㅇ 모델링 기반 미래예측: 과학기술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주요내용]
    □ 과학기술 미래전망
    ㅇ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등 과학기술의 미래를 과도하게 낙관적으로 또는 비관적으로 전망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기술 발전 속도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형성, 기술에 대한 이해관계 반영, 기술의 부작용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 미반영, 전망 방법의 한계 및 관련 데이터의 부족 등
    ㅇ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모두 장기적으로는 전 분야에 확산되어 범용 기술화될 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중단기에는 식품(합성생물학), 디스플레이(나노소재), 전기차(수소경제), 일부 분야를 중심으로 활용될 전망
    □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 전망
    ㅇ 수면과 개인케어, 휴식·레저활동에 대한 시간 투입은 늘어나고, 식사 및 업무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을 줄어들고 있음. 헬스케어, 교육, 가사운영 등에 대한 지출액은 늘어나고, 자동차 구매나 파이낸싱, 유류비 등에 대한 지출액은 감소
    ㅇ 모빌리티, 쇼핑과 미디어, 스마트 가전, 헬스케어 등에 대해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가 크게 달라질 전망
    □ 모델링 기반 미래예측: 과학기술의 일자리 영향
    ㅇ 의사결정 주체의 연구개발 유형, 경쟁국가의 유무 등을 적절히 모형에 반영한다면 그 영향을 어느 정도 전망할 수 있음
    ㅇ 다양한 정책 변수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설계와 활용이 향후에도 필요
    □ 사업 측면에서는 지식기반 구축공유, 미래지향적 문화 확산, 미래연구 네트워크 강화 등을 연구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진 중



    [정책대안]
    □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등 과학기술의 확산을 위해 기술개발 지원, 테스트베드 등 관련 인프라 제공, 정부 구매 확대, 사회문제 해결형 정책설계, 부작용/우려 해결, 안전기준 등 제도 정비, 관련 국가와의 국제협력 강화, 객관적인 미래 전망 수행 및 공유, 미래전망 방법론 개선, 데이터 확보/제공 등이 필요
    □ 미래 과학기술 수요 전망을 위해 특허/논문 등 공급 데이터 외에도 시간/지출 등 소비 데이터를 활용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야 함
    □ 인공지능이 직업 유형과 특성별로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국내 시장 관점에서 자동화 기술 도입을 통한 일자리 대체 효과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 확보 실패로 인한 일자리 감소 효과, 정부의 R&D 정책과 고용지원 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