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식량안보를 위한 과학기술기반 농업혁신 정책구상
-
보고서명(영문) Policy Initiative on Science and Technology-based Agricultural Innovation for Food Security
-
연구책임자 임영훈소속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 이주량,박환일,추수진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공개여부 공개
-
출판년도 2019
-
페이지 134ISBN 978-89-6112-614-4
-
보고서 유형 수시연구보고서연구유형 정책
-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
첨부파일
P19-21.pdf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 국문초록
-
<연구목적>
◯ 농업R&D(농업과학기술) 관점에 중점을 두고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농정 및 통상 정책을 지원 및 보완할 수 있는 과학기술기반 농업혁신 정책을 구상하는데 목적을 둠
- 식량수급 측면에서 자급률/자주율/자급력(비상대응력) 개념과 확보방안 검토
- 정책수단 측면에서 농정/통상/농업R&D(농업과학기술) 관점의 식량수급정책 제안
<주요내용>
◯ 식량안보 개념 및 대응정책 검토
- 식량안보 및 식량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지표(자급률, 자주율 등)에 대한 개념
- 글로벌 차원의 세계식량안보 인식의 변화양상
- 개별 국가 차원의 자국 식량안보 대응정책
◯ 한국의 식량안보 현황과 대응정책 검토
- 식량안보 관점에서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 자급률 상황, 소비패턴 등을 반영하여 목표치 관리 및 현행화
- 곡물자주율 관점에서 해외곡물의 안정적 생산 및 반입을 위한 정책 추진
◯ 한국의 식량안보 논의 재조명
- 한국의 식량안보는 위기 상황이나, 쌀 생산과잉 이슈에 가려져 식량안보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탄력적으로 추진되지 못함
- 유사시 대비하는 ‘안보’ 개념보다 ‘수급’ 개선에 편향적인 정책 추진으로 인해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력 결여
- 한국 식량안보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접근방식(인식)의 전환·보완과 함께 ‘안보’라는 개념에 합당하도록 농정, 통상정책과 연계된 전방위적이고 다각적인 과학기술정책 구상 필요
<정책대안>
◯ 한국의 식량안보를 위해 농정·통상 정책과 연계된 농업과학기술 혁신 정책대안
- (자급력 측면) 국가식량안보비상대응체계 구축
- (자주율 측면) 식량 자주율 제고를 위한 농업과학기술 국제협력 활성화
- (자급력 측면) 식량 자급률 제고를 위한 식량작물 R&D 투자 포트폴리오 재정립
<이하 원문 확인>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