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실태>
한국의 노동자는 왜 일터에서 자신의 역량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가? 우선 본 연구의 국제비교 결과 한국의 노동자들은 자신의 스킬을 활용하고 몰입하여 일하는 정도가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태조사를 통해 밝혀 낸 한국 노동자들의 역량활용 정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하 원문 확인>
제목 차례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8
제2장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실태_11
제1절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국제비교 13
제2절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실태조사 22
제3절 실태조사와 Best-HRD 우수기관과의 비교 43
제3장 기존 연구 및 이론 검토_61
제1절 도입 63
제2절 자기결정성, 일의 의미, 조직만족, 리더십, 수평 조직, 구성원 발언권 65
제3절 일터학습 80
제4절 복지국가, 안정감, 역량활용 85
제4장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영향요인 실증분석_95
제1절 도입 97
제2절 실증분석 모형 및 관련 변수 기초통계 98
제3절 각 영역별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108
제5장 직무중심 인사관리와 역량활용_127
제1절 문제 제기 129
제2절 보상체계와 역량활용 관계 기초통계 분석 134
제3절 임금체계가 역량활용 및 열정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163
제4절 소결 171
제6장 노동자의 권한 강화와 역량활용 - 실험연구_175
제1절 문제 제기 179
제2절 실험 설계 184
제3절 실험 결과 189
제4절 소결 213
제7장 결 론_217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219
제2절 정책적 함의 230
SUMMARY_244
참고문헌__250
부 록_273
부록 1. 설문지 275
부록 2. 기초통계표 286
부록 3. 공공부문 응답자 소속기관 333
부록 4. 한국 노동자의 역량활용 정도 1차와 2차실태조사 비교 334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