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영상자료

영상 썸네일을 클릭하면 YOUTUBE로 이동하여 영상이 재생됩니다.

영상명경쟁자 싹 자르는 '킬러 인수'가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얼마나 되나
  •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영상구분 영상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 등록일
  • 표준분류체계 경제> 경제일반
  • 키워드 #기업결합 #킬러인수 #GAFAM #인수합병 #구글 #아마존 #애플
  • 글로벌 기업 ‘구글’이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실시한 인수·합병(M&A) 규모는 총 524건, 793억 달러에 이릅니다. 특히 2021년 단행한 M&A만 115건, 거의 3일에 하나 꼴로 다른 기업을 사들였을 정도로 M&A에 적극적이었죠. 일명 ‘GAFAM’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디지털플랫폼 기업들은 이처럼 ‘기업결합’을 자신들의 몸집을 불리기 위한 전략으로 애용하곤 하는데요. 이 가운데 일부는 경쟁기업의 싹을 미리 자르기 위한 이른바 ‘킬러 인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이들 글로벌 공룡 기업의 M&A가 해당 디지털플랫폼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같은 기관의 다른 동영상

  •  대외금융자산 흑자 대한민국, 경제안정·금융 국제화 ‘두마리 토끼’ 잡기가 가능한 이유
  • KIEP가 내다보는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정책의 초불확실성, 그리고 성장의 차별성
  • ‘IMF 사태’ 트라우마 있는 우리나라가 ‘금융시장 개방’ 더 해도 되는 이유
  • KIEP가 예측하는 2024년 세계경제 전망: 끝나지 않은 코로나 여진, 세계경제 앞길 막는 ‘빚 쓰나미’
  • KIEP가 내다본 2023년 세계경제 업데이트: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
  • KIEP가 내다본 2023년 세계경제 전망: 긴축과 파편화 속에 억눌린 회복
  • KIEP가 내다본 2022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삼중고에 직면한 세계경제.. ‘정책 전환기, 경로의 초불확실성’
  • KIEP가 내다본 2022년 세계경제 전망: 코로나 이후의 세계 ‘글로벌 대전환’
  • KIEP가 내다본 2021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회복의 불균형, 정책의 차별적 경로
  • KIEP가 내다본 2021년 세계경제 전망: 예방과 재활의 균형있는 모색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영상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