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성과

정책/연구자료

보고서명

소득과 자산으로 진단한 노인빈곤과 정책방향

  • 조회수

    조회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557
  • 다운로드

    다운로드 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50
  • 소득 기준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OECD 최고 수준이고, 자산을 고려하여 평가하면 다소 완화되기는 하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노인빈곤율은 고령층 내에서도 출생 세대별로 큰 차이가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빈곤율이 더 높고, 저(低)소득-저(低)자산 비율도 뚜렷이 증가한다. 노인빈곤 완화를 위해서는 저(低)소득-고(高)자산 노인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고, 초고령 빈곤층 중심의 저(低)소득-저(低)자산 취약계층에 정책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산을 고려한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기초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2018년 기준 43.4%로 OECD 회원국(평균 13.1%) 중 최고 수준이다.

    - 세대별로 노인빈곤율을 살펴보면, 세대 간 노인빈곤율의 차이가 나타나며, 특히 1940년대생과 그 이전 출생 세대의 노인빈곤율이 높다.

    - 최근 노인빈곤율의 감소와 연령대 간 노인빈곤율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덜 빈곤한 1950년대생의 고령층 내 비중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 공적이전체제가 미성숙한 우리나라의 특성상 고령층은 자산 축적을 통해 노후대책을 마련했을 가능성이 커 소득만으로는 노인빈곤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 소득과 자산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자산을 소득화하여 노인빈곤율을 계산하면, 소득만을 이용해 계산한 노인빈곤율에 비해 상당폭 감소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소득과 자산을 함께 고려해 노인빈곤율을 계산하더라도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여전히 국제적으로 최고 수준이다.

    - 자산을 추가로 고려하였을 때, 세대 간 저(低)소득-저(低)자산 유형 비율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1940년대생 및 그 이전 출생 세대에서 저(低)소득-저(低)자산 유형 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난다.

    - 노인빈곤 수준이 세대에 따라 다른 것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세대 간 소득 격차와, 세대별로 다른 노후보장체제의 성숙도 때문으로 판단된다.

    -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기 위해, 기초연금은 재산을 고려한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지급하고, 저(低)소득-고(高)자산 고령층에 대한 지원은 축소해야 한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책/연구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