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국문초록
본 연구과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나타나는 경제·사회의 변화를 포착하여 국민들이 이에 원활하게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이런 변화를 우리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국민의 삶 전반에 걸쳐 발생한 단·장기적 변화를 데이터 기반으로 탐색하고, 이러한 변화 양상을 국민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화 서비스를 구축해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제는 시각화 대시보드 구축(1차 년도 과제)에 이어, 구축된 코로나19 대시보드에 대한 고도화 작업 및 대시보드의 사용자화면(프론트앤드) 및 관리자서버(백앤드) 등을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대시보드에 수록된 데이터의 경우 KDI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데이터, 통계청 등 공공데이터 및 민간기관 빅데이터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비, 노동, 금융, 경기, 생활, 여가, 이동, 교육 등 8개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데이터는 짧게는 일간 단위로 수집하여 주간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등 준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정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분야에 포함된 지표를 인터렉티브 그래프로 구현하고 데이터 설명 및 차트 사용 가이드와 ‘코로나 상황과 함께 보기’ 기능 등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대시보드 고도화는 특성별 정보 추가 등 기(旣) 구축 대시보드에 대한 보완과 신규 데이터 추가로 구분하여 추진하였다. 먼저 대시보드에 구현되어 있는 데이터 중 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 인구사회학적 정보에 따라 비교가 가능한 경우 해당 정보를 추가하여 더욱 다양한 정보가 조회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지역별 정보의 경우 지도버블차트 등 지역데이터에 특화된 시각화 방식을 적용하여 새로운 대시보드를 구현하였다. 또한 기존의 데이터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로 변경이 가능한 경우 데이터 변경을 추진하였으며, 데이터 부재 기간의 표시 등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하여 시각화를 개선하였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주요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였다. 신규데이터는 일 평균 이동거리, 이동반경, 여행객 수, 장르별 공연관람 등 거리두기로 인한 이동의 변화와 여가 활동에 대한 부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추가되었다. 마지막으로 홈페이지 기능 구현 등의 측면에서 DB(백앤드) 환경을 보완하였다. 인터렉티브 그래프에 대한 조회 속도를 개선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데이터 업데이트에 따라 해당 데이터가 대시보드에 자동 반영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별도의 코드를 구현하였다.





대시보드의 고도화 작업과 함께 이용자 확대를 위해 별도의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브랜드 검색광고를 진행하였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의 경우 인포그래픽,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KDI 자체 플랫폼 등을 활용한 업로드와 이벤트 추진 등을 통해 확산하였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project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citizens adapt to the new economic and social orders by capturing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VID-19,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utilize these changes as a new growth engine for our economy. Specifically, it aims to explore short-term and long-term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people's lives due to COVID-19 based on data, and to build and provide a visualization service that enables people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se changes.
Following the online visualization dashboard construction (1st year task), this task focuses on upgrading the existing COVID 19 dashboard and improving the dashboard’s user screen(front-end) and administrator server(back-end).
For the data on the dashboard, it covers a wide range of data, such as data produced by KDI itself, public data such as data from Statistics Korea, and big data from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data is provided in semi-real time by collecting data on a daily basis at a minimum and by performing weekly updates. The collected data is presented separately in eight areas—consumption, labor, finance, economy, life, leisure, transportation, and education—based on prior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the information, the indicators included in each field are presented as interactive graphs, a data explanation, and a chart usage guide, as well as a view function along with the COVID-19 situation.
Advancement of the dashboard was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the work two parts: supplementation of previously established dashboard such as adding information by characteristics and adding new data. First, if a comparison is possible according to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and region, etc. among the data set on the dashboar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as added so that more diverse information could be view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gional information, a new dashboard was made by applying a visualization method specialized for regional data such as a map bubble chart. In addition, a data change was promoted if it was possible to change to data containing more information than the existing data, and the visualization was improved by applying a method to increase readability, such as displaying the period of data absence. Along with this, we have added new data that can explore major changes caused by COVID-19. The new data were add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changes in transportation and leisure activities due to social distancing, including daily average moving distance and radius, number of travelers, and performance consumption by genre. Lastly, the DB(back-end) environment was supplemented in the area of website function. In order to improve user convenience, we improved the loading speed for the interactive graphs and separate code was implemented so that the data can be automatically reflected and saved on the dashboard according to the data update.





As such, in order to expand the user population of the existing dashboard, online content was created and spread, and brand search advertisements were promoted to improve accessibility. In the case of online content, various forms, such as infographics and videos, were produced and spread through uploading and event promotion using KDI's own platform.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표체계 구성 및 데이터 분석
제3장 온라인 대시보드 고도화
제4장 온라인 콘텐츠 홍보 및 광고
제5장 결론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