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1990년대 WTO 협정을 비롯하여 2000년대 FTA, 최근에는 RCEP, CPTPP 등 다자간 무역협정까지, 우리나라 수산업은 과거와 완전히 다른 환경에 처해 있다. 과거에는 폐쇄된 무역 환경 속에서 국내에서 생산 및 소비를 하고, 이에 따라 가격이 형성된다는 인식 아래 어업 활동이 이루어져 왔으나, 시장이 개방된 현시점에서는 글로벌 무역 시장에 나온 수산물과 품질 및 가격 등의 여러 방면에서 경쟁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가운데, 2020년 COVID-19 이슈는 많은 수출기업에 수요 및 공급 충격을 주었으며, 충격에 따른 수출 산업의 구조 변화도 예고하고 있다.
목차

요약_ⅰ

Executive Summary_ⅹⅰ

01
서론_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
1. 수산물 수출 경쟁력 4
2. 농식품 수출 경쟁력 9
3. 국가 경쟁력 모델 17
4. 기업 경쟁력 모델 22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5
1. 연구 범위 25
2. 연구 방법 27

02
글로벌 수산물 수출 동향 및 경쟁력 분석_29

제1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동향 29
1. 국가별 29
2. 부류별 34
제2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력 분석 39
1. ESI(수출경합도) 39
2. MS(시장점유율) 42
3. RCA(현시 비교우위지수) 47
4. TSI(무역특화지수) 50
제3절 소결 55
03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 분석_57

제1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력 이론 검토 및 분석 모델 57
1. 국가 경쟁력 정의 및 이론 57
2. M.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 59
제2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 분석 61
1. 분석 개요 61
2. 기초 통계량 74
3. 분석 방법론 82
4. 분석 결과 85
제3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향상 및 저해요인 사례분석 92
1. 요소 조건(Factor Condition) 92
2. 수요 조건(Demand Condition) 94
3. 관련 및 지원 산업(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97
4. 기업 전략, 구조, 경쟁 상황(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98
5. 정부(Government) 100
제4절 소결 102

04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 현황 분석_107

제1절 기업 수출 경쟁력 이론 검토 및 분석 모델 107
1. 기업 경쟁력 정의 및 이론 107
2. 기업 분석 모델 소개 108
제2절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 현황 분석 109
1. 조사 개요 109
2. 기초 통계량 110
3. 분석 결과 112
제3절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향상 및 저해 사례 분석 117
1. 요소 조건(Factor Condition) 118
2. 수요 조건(Demand Condition) 120
3. 관련 및 지원 사업(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121
4. 기업 전략, 구조 경쟁 상황(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123
5. 정부(Government) 124
제4절 소결 126

05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경쟁력 향상 방안_129

제1절 기본 방향 129
제2절 세부 추진 과제 도출 132
1. 요소 조건(Factor Condition) 132
2. 수요 조건(Demand Condition) 133
3. 관련 및 지원 사업(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134
4. 기업 전략, 구조 경쟁상황(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135
5. 정부(Government) 136

06
결론 및 정책 제언_139

제1절 결론 139
제2절 정책 제언 141
1. ‘제2차 수산업 어촌발전 기본 계획’, 글로벌 위상 관련 세부 전략 수립 고려 141
2. ‘수산물 수출 산업 중심’ 혁신 생태 환경 조성을 위한 ‘2 STEP(효율성 혁신, 가치 창출 혁신)’ 산업 육성 전략 수립 필요 143
3. 식품기술 거래와 중개 및 알선 전담 ‘수산식품기술 전담 거래기관’ 설립을 통한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유도 146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147
1. 연구 한계 147
2. 향후 연구 147

참고문헌_149

부록_155

1. 부류별 수산물 수출의 커널밀도 함수 추정 결과 155
2. 부류별 경쟁력 분석 결과(시장 점유율) 160
3. 부류별 경쟁력 분석 결과(RCA) 168
4. 부류별 경쟁력 분석 결과(TSI) 176
5. 주요 경쟁국별 수산물 수출 경쟁력 분석을 위한 자문조사 184
6.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189
7.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조사 결과 192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