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국문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한 2020년 3~12월 사이 우리나라 15~34세의 청년들이 노동시장 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에 따른 경제위기는 청년층의 주로 종사하고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 여가 관련서비스업 등의 대면서비스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2020년 3~4월, 12월의 유행기마다 청년층의 고용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20년 12월경 청년층의 고용률 하락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산업적 요인과 더불어 괜찮은 일자리의 신규 고용이 감소함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남성 청년들은 이 시기에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대신 노동시장밖에 머물며 취업준비를 이어가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더불어 청년층 내에서도 성별과 전공, 졸업 후 경과기간에 따라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코로나19와 청년노동시장 논의 19
제1절 경제위기와 청년노동시장 19
제2절 우리나라 청년노동시장의 특성 24
제3절 코로나19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31
제4절 소결 37
제3장 연구 설계와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43
제1절 연구 설계 43
제2절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51
제4장 코로나19로 일하는 청년은 줄었는가? 73
제1절 고용률 73
제2절 일시휴직 89
제3절 소결 99
제5장 코로나19 시기, 일하는 청년은 왜 줄어들었는가? 105
제1절 최근 실직 경험 106
제2절 최근 입직 경험 121
제3절 소결 137
제6장 코로나19로 일하지 않는 청년은 무엇을 하나? 141
제1절 적극적 구직자 142
제2절 비경제활동인구의 규모 154
제3절 비경제활동인구의 평소 활동상태 165
제4절 소결 178
제7장 결론 183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183
제2절 정책적 함의 187
제3절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제언 191
참고문헌 193
부록 199
부록 1 주요 기술 통계 및 분석 결과 199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