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국문초록
한국은 지난 90년대 이후 사회정책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확대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복지국가에서 여전히 배제된 집단이 계속 목격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연구는 이처럼 배제된 집단들에 주목하고,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책 제언을 시도한다. 이 연구는 다년 연구의 두 번째 해의 내용에 해당한다. 지난 1차 연구에서는 사회배제 개념 및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 과정에서 발굴된 노동시장 취약계층, 소수자 문제 등에 대한 세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사회적 약자인 청년 불안정 노동자, 이주노동자 집단에 초점을 두고자 했다. 본 보고서에는 청년 불안정 노동자의 일과 삶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구체적 연구집단으로는 청년 플랫폼 노동자와 청년 시간제 노동자에 주목하였으며, 양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는 청년 불안정 노동자들의 소득과 일자리 상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사회보장제도 밖에 놓여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청년 불안정 노동자들은 청년 노동자에 비해 일자리에서의 부정적 경험과 업무상 상해를 더 많이 보고했다. 이 연구는 청년 불안정 노동자들의 국민연금과 고용보험 가입 의사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또한 실시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보고서는 청년 불안정 노동자들을 위한 정책 제언을 시도했다.
목차
Ⅰ부-청년 불안정 노동자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구성과 방법 19
제2장 주요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5
제1절 주요 논의 검토 27
제2절 청년 노동의 실태 및 쟁점 38
제3장 청년 불안정 노동자의 일 실태 79
제1절 조사 개요 81
제2절 청년 플랫폼 노동자 88
제3절 청년 시간제 노동자 144
제4절 청년 불안정 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의사 분석 170
제4장 청년 불안정 노동자의 일 경험과 삶 209
제1절 연구 개요 211
제2절 청년 플랫폼 노동자 217
제3절 청년 초단시간 노동자 272
제4절 청년 단시간 노동자 305
제5장 결 론 33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335
제2절 정책 제언 340
참고문헌 347
부 록 355
[부록 1] 청년의 일과 생활 실태조사 조사표 355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