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국문초록
농촌은 도시보다 20년 이상 앞서서 인구 노령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미 초고령사회이다. 그러나 초고령사회에서 살고 있는 농촌노인들은 사회보장제도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관련 선행연구들은 사회보장의 일부분이나 농업인 중심으로 연구된 것이 많아서 농촌노인 전체의 사회보장 수혜 실태나 문제점을 조사하여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 경우는 별로 없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실태를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관련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6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9
4.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11

제2장 농촌인구의 노령화 동향과 농촌노인의 특성 17
1. 농촌인구의 노령화 동향과 전망 19
2. 농촌노인의 주요 특성 22
3. 소결 33

제3장 사회보장의 이론적 배경 35
1. 사회보장의 개념 관련 논의 37
2. 사회보장제도의 성립에 관한 이론 38
3. 사회보장의 기능 39
4.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법적 근거 40
5.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발전 과정 41
6. 본 연구에서의 사회보장의 개념 정의 44

제4장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실태 45
1. 사회보험 부문의 사회보장 실태 47
2. 공공부조 부문의 사회보장 실태 56
3. 사회서비스 부문의 사회보장 실태 59
4. 실태조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88

제5장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93
1. 분석모형 95
2. 변인의 측정방법 99
3.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100
4. 소결 103

제6장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관련 정책과 국내외 모범사례 105
1. 우리나라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107
2.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관련 국내외 모범사례 118
3. 정책적 시사점 138

제7장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향상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 143
1. 기본방향 145
2. 부문별 정책 개선방안 148

제8장 요약 및 결론 161
1. 요약 및 결론 163
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74

부록
1. 농촌노인의 사회보장 실태에 관한 설문지 175

참고문헌 205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책/연구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