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이 연구는 성인 남녀가 결혼하면 대부분 자녀를 출산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던 과거와는 다르게 최근에는 결혼했음에도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배경으로, 무자녀 부부의 특성과 무자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 무자녀 부부의 특징은 이전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무자녀 비중이 높았던 반면, 최근에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자녀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었으며, 이것은 영미 및 유럽과 반대되는 결과였다. 교육수준 이외에 무자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초혼연령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 늦어질수록 남은 가임기간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정책과제는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한 경우와 가임이 어려워 비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한 경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