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1. 서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과거 글로벌 기업들이 수십 년의 성장을 통해 실현한 가치를 혁신 기업들은 10년 안에 실현
- 미국의 GAFAM(Google, Amazone, Facebook, Apple, Microsoft)은 개별 시가 총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으며, 중국의 BATH(Baidu, Alibaba, Tencent, Huawei) 역시 거대한 내수수요와 정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다나카 미치아키, 2019).
-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 하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은 이제 매우 흔해졌으며, 가젤, 카피 타이거 등 다양한 형태의 혁신 기업을 지칭하는 신조어가 생겨남
-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10조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인 데카콘과 기업가치가 100조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인 헥토콘이 탄생
○ 진정한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양적 증가와 질적 성장을 동시에 구현하고, 그 과정에서 기존 사업자들이 제시하지 못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함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국과 중국의 대표 데카콘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 시자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선행 연구 및 현황 분석
□ 데카콘 개념 및 국내외 현황
○ (데카콘의 개념)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벤처기업을 이르는 말로, 2013년 미국 카우보이벤처스의 에일린 리(Aileen Lee)가 기업가치 10억 달러가 넘고 창업 10년 이하인 비상장 벤처기업을 ‘유니콘’으로 명명한 것에서 발전함
○ (주요 특징) 데카콘은 혁신적 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품과 수익성 논란도 존재
- 유니콘/데카콘 기업은 혁신적 기술과 이전에 없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 데카콘은 투자 유치를 통해 자본금을 확보하고,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등 방식으로 이익을 실현
- 데카콘 기업에 대한 가치평가는 통상 가장 최근 투자라운드의 금액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Gornall, W., & Strebulaev, I. A., 2020), 가치를 책정하는 기관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함
- 일부 데카콘 기업들은 기업공개 이후 부실한 수익구조가 노출되고, 이익이 감소
○ (글로벌 데카콘 현황) 세계 데카콘 기업은 미국과 중국이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 신흥국의 데카콘 기업들도 탄생
- 미·중 데카콘 기업의 평가액 합은 전체 글로벌 데카콘 평가액의 85%를 상회
- 2020년 하반기 중국의 바이트댄스가 평가액 1위를 차지하며, 2015년 이래로 줄곧 미국기업이 1위를 차지하던 지형에 변화가 생김
- 신흥국 데카콘: 인도(3개), 영국(1개), 싱가포르(1개), 인도네시아(1개), 브라질(1개)
- 데카콘 기업은 ① 공유 경제·플랫폼, ② 핀테크·블록체인·빅 데이터, ③ 제조, ④ 첨단 기술형으로 유형화 됨

□ 미‧중 스타트업 혁신생태계 현황
○ 미국은 시리즈D 이상의 후기 단계의 스타트업 투자 비중(건수 기준)이 7% 수준으로 한국의 1%보다 크게 높으며, 1억 달러 이상의 메가 투자 건수도 177건, 385억 달러 규모(2018년 기준)에 달함
○ 투자 단계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미국에 비해 초기(시리즈 A) 단계의 투자가 매우 활성화되었고, 금액 기준으로는 중기 시리즈(B·C) 투자도 매우 활발함
○ 미‧중 모두 네거티브 규제 시스템으로 인해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와 신산업으로의 진출이 용이함
○ 미‧중 양국 모두 대학발 창업, 유경력 창업, 연쇄 창업 등 다양한 형태의 창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혁신기업의 성장요인 및 경로
○ (자원에 대한 접근) 창업자의 자원(인력, 기술, 금융, 지식 등 기타 유·무형 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확보
○ (자원의 배치 및 이동) 수익 창출 및 초기 성장 기회 포착을 준비하기 위한 기업 내 자원의 배치/이동
○ (자원의 발전) 학습과 경험(시행착오 포함)을 통해 기업의 자원과 역량의 양적·질적 개선 및 확대
○ (성장 강화) 경영 활동의 변화(도전적인 기회 탐색, 옵션(선택사항의 활용과 적절한 선택), 자본 조달의 성격 변화, 내부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성장기반 마련
○ (성장 전환) 성장 제약요인 제거, 수요의 부족 및 정체 문제 해결과 같은 성장 정체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3. 미‧중 데카콘 사례 분석
□ 메이투안
○ (내부 성장요인)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과 단계별 거액의 투자유치를 통한 성장
- 기술/비즈니스 혁신: ➀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기반의 시장 진출 전략 구사(광고시장 1위인 바이두 위협), ➁ Baas 통합 수직 시스템 구축 및 개발, 스마트 공급망 체계 구축(무인택배함, 배달 오픈플랫폼), ➂ 앱 접속 빈도가 높은 서비스의 연결과 확보에 집중
○ (외부 성장요인) ➀ 경쟁사 대부분 1선 도시를 중심으로 경쟁하여, 2,3,4선 도시 초기 선점 가능, ➁ 중국 ‘인터넷 플러스 전략’에 따른 전통산업의 인터넷화, ➂ 중국 소비자들의 배달앱 활용률 증가 등

□ 우버
○ (내부 성장요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대형투자 유치를 통한 성장
- 기술: 공유플랫폼, 자율주행, AI기술, 폭넓은 사용자 경험, 빅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 기술/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모빌리티 통합화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주문형 서비스(On-demand) 활성화, ➁ 초기 수요 대규모 확보, 최신기술(모바일결제, GPS) 적용하여 플랫폼 발전기반 구축, 해외시장 개척, ➂ 모빌리티 및 플랫폼 서비스로 사업 확장
- 투자: T기업 초기투자 경험 많은 대형VC, 성장기업투자 경험 많은 CVC로부터 대형투자 유치
○ (외부 성장요인) 대형 VC투자가 가능한 벤처 생태계, 공유·플랫폼 기반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규제 완화(先허용, 後규제), 플랫폼 기업 간 경쟁을 촉진시키는 정책 지원,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 변화(커넥티드카로의 이동) 등

□ 드롭박스
○ (내부 성장요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대형투자 유치를 통한 성장
- 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사용자 가치 극대화-직관적인 UI 및 효율적인 UX 제공, 호환성과 파일 동기화 속도 경쟁력, ➁ 핵심 사업에 대한 기술개발 강화, 연구개발 인력의 지속적 충원, 대규모 고객 확보 지속, ➂ 초기 무료화로 단기 내 대규모 고객 확보, ➃ 린스타트업 전략-서비스 개발/보완 전 과정을 공개하는 개방형 혁신 실현, 시제품 형태의 제품 출시
- 투자: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대형 VC, 대형사모펀드 등 성장 단계별로 특화된 지속적 투자 유치


□ 바이트댄스
○ (내부 성장요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콘텐츠, 글로벌화 전략, 대규모 투자 유치
- 기술: 인공지능 기반의 ‘큐레이션(curation)’ 기술로 사용자 기호 파악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 R&D 중심의 인력구조를 기반으로 사업 초창기부터 모바일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 개발/활용에 매진
- 비즈니스 모델: 인공지능 기반의 차별적 서비스 개발, 현지화 기반의 글로벌화
- 콘텐츠: 터우탸오(뉴스제공 서비스), 더우인/틱톡(쇼트 비디오 플랫폼)
- 투자 유치: 세콰이어캐피탈, 소프트뱅크 등으로 부터 누적투자 56억 달러 유치
○ (외부 성장요인)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이익 효과, 벤처투자 생태계 활성화 등의 외부 성장요인이 존재한 반면, 국내외 경쟁기업 출현, 글로벌 이슈 등의 위협요인도 함께 발생
-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중국의 디지털 전환, 급속한 모바일화로 SNS 이용률 및 모바일 광고액 급증
- 벤처 투자 생태계: 미국, 중국, 일본 자본의 중국 투자 활성화
- 국내외 경쟁기업 출현: 페이스북(라쏘), 인스타그램(릴), 구글(파이어워크), 콰이셔우
- 중국내 위협: 콘텐츠 선정성 이슈로 인한 중국 내부의 검열 및 제재
- 글로벌 이슈: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이슈로 인한 미국의 제재, 국제관계 악화로 인한 인도의 제재

□ 디디 추싱
○ (내부 성장요인) 핵심기술(Big & Thick 데이터, 인공지능), 공격적 시장선점 및 M&A, 공격적 해외 진출, 투자 유치 및 인수 합병 등을 통해 성장
- Big & Thick 데이터: 하루 100TB 이상의 주행경로/하루 100만 시간 이상 분량의 영상 데이터 축적, 인공지능(췬옌 플랫폼, 자율주행 카세어링 서비스)
- 공격적 시장선점 및 M&A: 콰이디다처, 우버차이나 등 주요 경쟁사 인수
- 공격적 해외 진출: 전 세계 70%이상의 시장에 진출(2015~2017)
- 투자 유치 및 인수 합병: 초기 투자 유치(텐센트), 경쟁사 합병 및 인수, 대규모 투자 유치(소프트뱅크)
○ (외부 성장요인) 중국의 경제성장 잠재력 및 모빌리티 수요 성장 잠재력, 강력한 정부 지원, 벤처투자 생태계, 중국 내 치열한 경쟁
- 중국의 잠재력: 2024년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규모를 이룰 것으로 예측(WB/ IMF, 2020), 중국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수요 급증: 440억 달러(2013) ⟶ 730억 달러(2017)
- 정부지원: 중앙정부(국무원, 교통운수부 등)와 지방정부(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의 정책지원
- 벤처 투자 생태계: 미국, 중국, 일본 자본의 중국 투자 활성화
- 중국내 치열한 경쟁: 알리바바, 텐센트 등 거대기업의 지원을 받는 경쟁자들의 출현

□ 스트라이프
○ (내부 성장요인) 단순하고 높은 호환성을 가진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핵심기술로 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이루고, 대형 투자를 장기간 유치
- (비즈니스 모델 혁신) ➀ 서비스 편의 향상-모바일 결제 과정 최소화, 낮은 수수료율, 다양한 통화(비트코인 포함) 지원, ➁ 기존 IT기업과의 제휴 및 협력- 애플페이/트위터와 협력, 알리페이/위챗페이와 제휴, ➂ 기술 융합을 통한 신규서비스 창출: 기존 기술(결제서비스) + 최신 기술(AI, 빅데이터) = Radar, Stripe Capital
- (대형 투자 장기간 유치) (창업~유니콘) 4억 4천만 달러 유치, (유니콘~데카콘) 투자액 10배 증가
○ (외부 성장요인)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의 빠른 성장, 금융 산업 내 진입장벽 및 신사업 규제 완화, 대형 VC투자가 가능한 벤처 생태계
- 핀테크 기업과 비금융 빅테크 기업 간 제휴 활발
- 미국, 유럽, 중국 내 금융서비스 규제 완화
- 대규모 VC투자펀드 다수 존재, CVC활성화

□ 스페이스 X
○ (내부 성장요인) 저비용/고효율의 우주서비스 개발 전략, 핵심 개발인력 적극 유치, 사업영역 확장 및 사업간 연계성 등의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 저비용/고효율의 우주서비스 개발 전략: 발사체 재활용을 통해 로켓 개발비용 대폭 절감
․공공 R&D의 비효율적 요소 제거, 제품의 핵심 기능에 집중하여 설계 및 제작
․로켓 순 개발 비용: 스페이스 X-팰컨9(3천억 원), 우리나라-나로호(1조원), 누리호(2조원)
- 핵심 개발인력 적극유치: NASA, 보잉, TRW(유명 항공우주업체) 등에서 전문 인력 스카우트
- 사업영역 확장 및 사업간 연계성: 스페이스 X ’스타링크’ – 테슬라 ‘오토파일럿’– 하이퍼루프의 시너지
○ (외부 성장요인) 민간 중심 뉴 스페이스 시대 개막, 대기업의 전략적 투자
- (90년대) 정부주도 ⟶ (2000년대) 정부투자 민간개발 ⟶ NASA와의 ISS 민간화물수송 계약
- 「상업적우주발사경쟁력법(2015)」 제정
- 구글, 피델리티 등 대기업이 ‘스타링크'프로젝트에 10달러 투자

□ DJI
○ (내부 성장요인) 기술중심주의 문화 구축,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통합솔루션 제품 제작, 혁신클러스터 형성을 통한 비용절감 및 제품 가성비 확대, 교육용 로봇, 자율주행 시장 등 연관분야로의 진출 확대 등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한 성장
○ (외부 성장요인) 글로벌 드론 수요 증가, 중국정부의 지원 정책, 정부의 기업표준 제정 허용 등
- SNS사용 증가로 일반인의 드론 수요 높아짐
- 드론 관련 글로벌 표준이 구축되지 않아, 자국 표준 정책을 기반으로 사업 가능

4. 결론 및 시사점
□ 미‧중 데카콘의 탄생과 성장의 시사점
○ (성장 요인) 인재, 시장⸳수요, 투자, 규제, 기술 측면에서 데카콘 기업의 성장요인 특성을 도출함
- 인재: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기업들은 활발한 대학발/유경력 창업과 연쇄 창업을 통해 탄생하고 성장했으며, 그 과정에서 창업가의 다양한 네트워크(대학 네트워크, 기업 네트워크)가 기여
- 시장/수요: 풍부한 내수 시장 및 성장 잠재력과 국가의 시장 조성을 통해 성장
- 투자: 국가와 민간, 글로벌 벤처캐피탈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통해 성공적인 스케일 업을 실현
- 규제: 창업과 신산업 진출이 용이한 개방적 규제 환경 속에서 혁신 창업 지원 정책을 통해 성장을 실현
- 기술: 창업 초기부터 핵심 기술 역량을 확보하는데 주력했으며, 기업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서비스 차별성을 확보
○ (성장 경로) 국가별(미국, 중국), 비즈니스 시장 범위(국내, 글로벌)별로 기업별 차별적인 성장경로 존재
- 중국의 로컬 데카콘: 중국에서 탄생 → 성장(중국 시장 독과점) → 글로벌 시장 진출 → (나스닥/홍콩 증시 상장)
- 중국의 글로벌 데카콘: 중국에서 탄생 →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 국내 시장 진출 → 독립 플랫폼
- 미국의 로컬 데카콘: 미국에서 탄생 → 미국시장 기반 성장 → (세계 시장 진출)
- 미국의 글로벌 데카콘: 미국에서 탄생 → 글로벌 시장 지출 → 중국 진출 → 실패 → 상장

□ 한국의 정책 방향
○ 성공적인 연쇄 창업가 육성과 글로벌 인재 육성
○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수요 조성, 글로벌 시장과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충분한 성장 기반 구축
○ 신기술 기반의 비즈니스 규제 완화, 신산업 진출에 대한 규제 완화
○ CVC 제도 개선 및 M&A 활성화
목차
요 약 i

제1장 서론 1
제1절 배경 및 목적 1
제2절 구성 및 방법 2

제2장 선행 연구 및 현황 분석 3
제1절 데카콘 개념 및 국내외 현황 3
1. 데카콘 개념 3
2. 데카콘의 특징 4
3. 데카콘의 해결 과제 13
4. 데카콘 현황 16
제2절 미・중 스타트업 혁신생태계 현황 26
1. 미국의 데카콘 혁신생태계 현황 26
2. 중국의 데카콘 혁신생태계 현황 41
제3절 혁신기업의 성장 요인(Factor) 및 경로(Path) 52
1. 기업 성장 이론에 관한 문헌 검토 52
2. 성장 단계와 성장 경로에 관한 문헌 검토 55
3. 스타트업의 스케일 업 관점에서 혁신기업의 성장과정과 성장경로 59
4. 기술・혁신 기반 스타트업의 성장 요인 60
5. 유니콘・데카콘 기업의 성장과 가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63

제3장 미·중 데카콘 사례 분석 68
제1절 상장 데카콘 기업 사례 68
1. 메이투안 68
2. 우버 81
3. 드롭박스 97
제2절 비상장 데카콘 기업 사례 113
1. 바이트댄스 113
2. 디디 추싱 126
3. 스트라이프 145
4. 스페이스 X 166
5. DJI 181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206
제1절 미・중 데카콘의 탄생과 성장의 시사점 206
제2절 한국의 정책 방향 215


참고문헌 223

Summary 233

Contents 237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