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인구 고령화는 길어진 노년기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내면서 신체적 혹은 인지적 장애가 발생하여도 자신의 집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으며 생활가능한 주거환경을 보장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방문형 재가급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급자의 주거환경이 수급자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의 근무환경이 되는 수급자의 주거환경이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자립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사고위험을 감소시켜 노인의 건강 도모하고, 노인의 생활범위를 확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노인의 주거환경은 돌봄 제공자의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재가급여 수급자가 자신의 집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고 생활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수급자의 집이 적합한 근무 공간이 되기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home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who receive the in-home benefits at home affects the recipient’s daily life and how the recipient’s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service provider, should change to alleviate the care burden of the service provi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secondary data analysis, focused-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caregivers who provide home-visit care. for older adults, dwelling environments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independent life. in additi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caregiver’s burden,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tasks to make the recipient’s home a suitable working space for service providers and a comfortable and safe living environment for the recipient.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9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1
제2장 국내외 노인주거환경 개선 정책현황 35
제1절 한국 37
제2절 일본 62
제3절 독일 106
제4절 미국 129
제3장 방문형 재가급여 이용 및 제공 현황 161
제1절 방문형 재가급여 이용 현황 163
제2절 방문형 재가급여 제공 현황 192
제3절 방문형 재가급여 제공환경 질적 분석 210
제4장 방문요양 제공자의 서비스 환경 실태조사 237
제1절 실태조사 개요 239
제2절 수급자의 주거환경과 서비스 제공환경 241
제3절 서비스 제공환경과 서비스 제공자의 근로성과 282
제4절 소결 301
제5장 결론 305
제1절 연구요약 307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15
제3절 연구의 한계 322
참고문헌 325
부록 345
[부록 1] 방문요양 제공자의 서비스환경 실태조사 조사표 345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