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한국 정부는 공직사회 전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공직사회의 부정부패 해소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국행정연구원은 위와 같은 정부의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매년 ‘정부부문 부패 실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일반기업체와 자영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직자의 부패수준, 부패 관련 개인적 경험, 분야별 부패 인식, 부패요인과 기추 및 정책에 대한 데이터를 생산했습니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 축적을 통하여 행정부별 공직부패 인식에 대해 추이를 분석해 볼 수 있는 초석을 마련고자 하였습니다. 올해는 부패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위기상황관련 문항을 추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의적절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고자 하였습니다. 설문 결과와 분석내용은 정부의 반부패 정책 수립과 운영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되어 각종 정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추진 체계 및 연구 내용
3. 조사개요
4. 연구 분석방법
제2장 2020년도 조사결과 분석
1. 응답자 특성 및 모수추정 결과 값 제공
2. 공직부패 전반에 관한 인식
3. 부패 관련 개인적 경험
4. 분야별 부패에 대한 인식
5. 부패 요인·대안, 담당기구 및 정책에 대한 견해
제3장 행정부별 부패 관련 추이분석
1. 부패 관련 개인적 경험
2. 공직전반의 부패에 대한 인식
3. 분야별 공직부패에 대한 인식
4. 공직부패 발생요인에 대한 견해
제4장 부패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도출
1. 반부패 제도(정책 및 조직)와 부패인식
2. 부패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공무원 범죄 발생 현황과 부패인식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정보

공공누리 정보 유형4
공공누리 정보 유형4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