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명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Ⅷ) -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
보고서명(영문)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Ⅷ) - Socio-economic crisis and social cohesion
-
연구책임자 여유진소속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공개여부 공개
-
출판년도 2021
-
페이지 498ISBN 978-89-6827-823-5
-
보고서 유형연구유형 기타
-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 국문초록
-
이 보고서는 코로나19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파장과 그 결과가 개인과 가족에 미친 영향을 탐색해보고, 이러한 사회·경제적 위험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가늠함으로써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간의 관계에 관한 사회조사(‘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행복도,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우울도는 높아졌다. 사회통합 인식과 사회전반의 신뢰도는 높아졌지만 사회적 지지와 사회자본 수준은 낮아졌다. 불평등을 더 크게 인식할수록 신뢰수준이 낮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았다. 반면, 사회응집력 수준이 높을수록,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코로나19에 대한 대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서 사회통합과 응집력을 높이기 위한 좀 더 적극적이고 포용적인 지원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 목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