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영상자료

영상 썸네일을 클릭하면 YOUTUBE로 이동하여 영상이 재생됩니다.

영상명KIEP 2025년 세계경제 전망: 2025년 향방을 결정할 가장 강력한 상수이자 변수 '트럼피즘'
  •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영상구분 영상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1유형 (출처표시)
  • 등록일
  • 표준분류체계 경제> 경제일반
  • 키워드 #2025년 #세계경제 #트럼피즘 #관세인상 #트럼프2기 #뉴노멀 #저성장 #감세정책 #불확실성
  • 프랑스 정치철학자 ‘알렉시 드 토크빌’의 1835년 저서 '미국의 민주주의'엔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 “The position of the Americans is therefore quite exceptional”. 이 문장으로부터 비롯된 ‘미국 예외주의’는 전 세계에서 미국이 가진 위상과 파워, 지위를 드러내는 개념으로 자주 쓰이죠. 토크빌로부터 2세기가 지난 현재, 도널드 트럼프는 ‘예외’를 ‘우선’이란 낱말로 바꾸며 전 세계 지형을 뒤흔들었고, 최근엔 더 철저해진 자국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미국의 대통령 자리를 되찾는 데 성공했습니다. 미국의 이익을 가장 우선하겠다는 이른바 ‘트럼피즘’은 2025년 세계경제의 흐름을 결정할 가장 강력한 ‘상수’입니다. 동시에 트럼프 당선인 특유의 돌발성은 세계경제의 향방을 예측 불가능의 영역으로 몰고 갈 ‘변수’로도 작용할 전망입니다. 정영식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이 설명하는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같은 기관의 다른 동영상

  • '기후위기', '산업발전' 두마리 토끼 잡는 EU의 새 해법, '기후중립 전략기술'의 모든 것
  • ‘숨은 기회의 땅’, 중남미...우리나라의 정책 목표와 과제는?
  •  대외금융자산 흑자 대한민국, 경제안정·금융 국제화 ‘두마리 토끼’ 잡기가 가능한 이유
  • 경쟁자 싹 자르는 '킬러 인수'가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얼마나 되나
  • KIEP가 내다보는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정책의 초불확실성, 그리고 성장의 차별성
  • ‘IMF 사태’ 트라우마 있는 우리나라가 ‘금융시장 개방’ 더 해도 되는 이유
  • KIEP가 예측하는 2024년 세계경제 전망: 끝나지 않은 코로나 여진, 세계경제 앞길 막는 ‘빚 쓰나미’
  • KIEP가 내다본 2023년 세계경제 업데이트: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
  • KIEP가 내다본 2023년 세계경제 전망: 긴축과 파편화 속에 억눌린 회복
  • KIEP가 내다본 2022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삼중고에 직면한 세계경제.. ‘정책 전환기, 경로의 초불확실성’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영상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