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중학교 수학과 ‘좋은 수업’ 구성 요소 및 세부 항목 개발을 위한 참여적 설계 사례[KICE 2024 이슈페이퍼](ORM 2024-65-17)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문초록
- 본 이슈페이퍼는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분석과 ‘좋은 수업’ 지원 방안 탐색(Ⅱ): 중학교를 중심으로“의 연구 중 수학과 좋은 수업 구성 요소 개발 및 타당성 분석 부분에 초점을 두어 작성하였다.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수학과의 특성을 명확히 반영하기 위해 참여적 설계를 활용하여 교과별로 중학교 좋은 수업의 영역별 구성 요소와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대규모 설문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참여적 설계를 통해 수업의 주체인 학생과 교사가 좋은 수업 구성 요소 개발에 직접 참여하여 보다 현장감 있고 실질적인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소수의 의견을 반영한 참여적 설계 산출물을 대규모 설문으로 검토한 점에서 최종안 도출 과정은 방법론적, 내용적, 학문적, 정책적으로 의미가 크다.
특히 참여적 설계는 '좋은 수업'에 대해 교사가 성찰하고 동료들과 논의하며, 교육 철학과 목표를 강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좋은 수업' 구성 요소는 자기 점검 체크리스트와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참여적 설계를 통한 정책 설계는 학생과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실효성과 수용성이 높은 정책을 개발하고,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 차이를 조율하여 정책이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