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성과

정책/연구자료

보고서명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의 지역ㆍ산업별 기업 효과

  • 책임자 이준영
  • 소속기관산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김영민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산업연구원
  • ISBN979-11-93768-22-8 93320
  • 출판년도2024
  • 페이지105
  • 보고서유형 정책·연구자료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경제 > 경제일반
  • 자료유형정책·연구자료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디지털 전환, 지역기업발전, 지역산업정책
  • 조회수

    조회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8,530
  • 다운로드

    다운로드 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45
  • ○제4차 산업혁명 관련 논의를 계기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전
    환 기술은 인간의 인지 영역의 업무를 대체하는 범용기술적 성격을
    지님.
    ○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요 쟁점 중 하나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에
    따른 고용의 변화로,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의 결과 인간의 노동이 자
    본(기계)으로 대체됨에 따라 고용이 감소하는 영향과 생산성 제고 및
    새로운 업무 창조의 결과 고용이 증가하는 영향이 공존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산업ㆍ경제 발전 관점에서도 디지털 전환
    은 지역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이며,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
    용의 지역ㆍ산업별 고용 및 기업 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
    ○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에 따른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
    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지역산업 차원의 정책적 시
    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먼저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 전환 기술 중 ‘인간의 인지 영역의 업
    무를 대체하는 범용기술적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물인터넷, 모
    바일(5G),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 6개 기술을 ‘디
    지털 전환 기반 기술’로 정의
    ○ 또한 다양한 유ㆍ무형 고정자본 중 디지털 전환과 밀접하게 관련된
    ICT 및 S/WㆍDB의 비중이 숙련도별 노동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EU-KLEMS의 국가-산업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디지털 전환 관련 고정자본 비중의 증가는 전체
    및 숙련노동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디
    지털 전환의 노동 수요에 대한 영향이 숙련 편향적임을 시사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책/연구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