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정책/연구자료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의 지역ㆍ산업별 기업 효과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문초록
- ○제4차 산업혁명 관련 논의를 계기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전
환 기술은 인간의 인지 영역의 업무를 대체하는 범용기술적 성격을
지님.
○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요 쟁점 중 하나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에
따른 고용의 변화로,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의 결과 인간의 노동이 자
본(기계)으로 대체됨에 따라 고용이 감소하는 영향과 생산성 제고 및
새로운 업무 창조의 결과 고용이 증가하는 영향이 공존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산업ㆍ경제 발전 관점에서도 디지털 전환
은 지역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이며,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
용의 지역ㆍ산업별 고용 및 기업 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
○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에 따른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
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지역산업 차원의 정책적 시
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먼저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 전환 기술 중 ‘인간의 인지 영역의 업
무를 대체하는 범용기술적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물인터넷, 모
바일(5G),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 6개 기술을 ‘디
지털 전환 기반 기술’로 정의
○ 또한 다양한 유ㆍ무형 고정자본 중 디지털 전환과 밀접하게 관련된
ICT 및 S/WㆍDB의 비중이 숙련도별 노동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EU-KLEMS의 국가-산업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디지털 전환 관련 고정자본 비중의 증가는 전체
및 숙련노동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디
지털 전환의 노동 수요에 대한 영향이 숙련 편향적임을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