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성과

정책/연구자료

보고서명

우리나라 고령소비자의 유형별 특징과 고령친화기업에 대한 시사점

  • 책임자 조현승
  • 소속기관산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김승민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산업연구원
  • ISBNISBN 979-11-93768-02-0 93320
  • 출판년도2023
  • 페이지67
  • 보고서유형 정책·연구자료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경제 > 경제일반
  • 자료유형정책·연구자료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고령화사회, 실버산업, 고령친화기업, 고령소비자, 고령화연구패널
  • 조회수

    조회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393
  • 다운로드

    다운로드 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11
  • ○우리나라는 기대수명 증가와 출산율 감소로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음.
    - 고령화로 인해 재정부담 증가나 고령자 소외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
    가 우려되지만 고령친화산업의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신성장동력으
    로 내수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음.
    ○ 최근 고령친화산업이 성장하고는 있지만, 민간기업의 투자가 활발하
    지 않고 공공부문이 주도하는 저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음.
    -고령층의 잠재수요가 높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지만, 잠재수요가 얼마
    나 실질적인 구매행위로 이어질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상황임.
    ○고령층은 연령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건강상태, 근로 여부, 배우
    자 유무, 가구형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소비패턴이 크게 달라짐.
    ○그러므로 고령층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유형별 특성과 소비구조를 분
    석해야 고령층의 수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나, 고령층을 세분화
    하여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함.
    ○만약 우리나라 고령층을 건강과 소득 등에 따라 구분하고 이에 따라
    세분화된 수요집단의 규모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면 기업의 수요분
    석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건강하면서 구매력이 높은 집단, 구매력은 높지만 건강이 좋지 않아
    실제 구매행위에 제한이 있는 집단, 건강하지만 구매력이 낮은 집단,
    건강하지 않고 구매력도 낮은 집단 등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이용하여 고
    령자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의 규모를 파악하고자 함.
    -또한, 각 유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거주지역, 소비구조를 분석하여
    고령친화산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책/연구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