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성과

정책/연구자료

보고서명

주요국의 대인도 물류 인프라 시장 진출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 책임자 박병열
  • 소속기관산업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산업연구원
  • ISBN979-11-93768-08-2 93320
  • 출판년도2024
  • 페이지102
  • 보고서유형 정책·연구자료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경제 > 경제일반
  • 자료유형정책·연구자료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인도, 인프라, 정책
  • 조회수

    조회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7,670
  • 다운로드

    다운로드 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16
  • ○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을 대외 정책 전면에 내세
    우면서 인도가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
    ○ 한국의 아세안, 미국, 중국 등 주력 시장 수출이 꾸준히 감소하여 새
    로운 시장 확보를 통한 수출 다각화 필요성 증대
    - 인도는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이자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국가로
    성장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이며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이하 PLI) 등 다양
    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정책을 시행 중
    ○ 인도 물류 인프라 시장진출은 인도의 장기적인 발전 목표와 일치함
    과 동시에 인도의 보호무역주의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
    -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정책은 궁극적으로 제조업 분야 인프라
    8 주요국의 대인도 물류 인프라 시장 진출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확충, 산업 회랑 개발 등 인도 제조업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
    - 인도는 만성적인 무역적자로 인해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보이고 있으
    며 최근 무역적자를 이유로 한국, 일본,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등 여러 국가에 무역협정 재협상을 요구
    - 물류 인프라 산업 진출은 인도의 장기적인 경제 발전 목표와도 일치
    하며 잠재적 통상분쟁을 피해 대인도 시장진출을 꾀할 수 있는 방안
    □ 연구 목적
    ○ 인도의 물류 인프라 현황과 정책을 살펴보고 주요국의 인프라 진출전
    략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제시
    -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은 대인도 물류 인프라 투자를 인도 진출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이하 ODA), 외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도와의 협력
    을 적극적으로 추진
    - 인도의 인프라 현황, 정책, 주요국의 전략 분석은 공급망 다각화, 중
    국 대체 시장이 필요한 우리나라에 인도와의 협력 방향을 제시할 것
    으로 기대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책/연구자료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