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공직‘핵심 리더’의 역량증진 교육 프로그램 연구: 디지털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보고서명(영문)A Study on Capacity-Building Program for Key Leaders in Public Service: Focusing on Digital Proficiency
  • 책임자 은재호
  • 소속기관한국행정연구원
  • 내부연구참여자김세진,이효주,이다솜,나지석,박종석
  • 외부연구참여자김정인,권보경,이수정
  •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ISBN979-11-5567-627-1
  • 출판년도2023
  • 페이지248
  • 보고서유형 협동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교육 > 교육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 주제어디지털대전환, 공무원 핵심인재, 디지털 역량, 공공리더십, 교육훈련프로그램
  • 세계 주요국은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기를 맞아 ‘공직 핵심리더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추진 중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 흐름 속에서 한국 공무원 교육의 중추를 담당하는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이하 : 인재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체계를 분석하고 그 개편 필요성에 대해 검토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인재원의 공무원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해외 주요 공무원 교육기관의 프로그램과 비교하며, 국·과장급 고위 공무원의 디지털 역량증진에 적합한지 평가했다. 한국의 인재원은 공무원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하여 직급별로 차별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해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어서 우리 정부의 공무원 역량 모델과 인재원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조응 정도(목적 달성도)를 평가했다.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의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훈련을 이 보고서의 제2장에서 개발한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드러난다. 한국과 영국은 디지털 사고역량, 디지털 업무역량, 디지털 관계역량 강화를 위한 균형 있는 교육훈련 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에, 미국, 일본, 프랑스는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과정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국․과장급 관리자들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군은 ‘디지털 사고역량’ 군이며, 그 중에서도 ‘근거기반 의사결정’ 디지털 역량을 국․과장급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하위 디지털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대응과 보완이 절실한 과제로 대두했다. 또한 과장급 디지털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디지털 정책사업 기획역량에 대한 교육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상호소통변화관리의 프로그램 내용 개선 또는 프로그램명 변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분야 ‘핵심 리더’ 대상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과 디지털 역량을 융합해 교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 다음 그 구체적인 방안을 설계하며 이 보고서의 최종 정책제언으로 종합적인 설계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인재원의 디지털 역량교육 프로그램을 공공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큰 틀 안에서 개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공무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와 더불어 우수한 공공 리더로서의 역량도 함께 강화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