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인기검색어

검색
국문초록
□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 신체적·정서적 불안 증세를 보이는 문제행동(ADHD, 공격적 행동, 등원거부, 거짓말 등) 영유아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한 가정, 보육교사 지원 정책이 미비함. 이에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용 지침서 및 부모 교육용 안내서 개발이 필요함.
○ 2013년 보건복지부는 ‘국민 100% 행복사회’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아동을 위한 전략으로 ‘걱정 없이 아이를 낳고 키우는 사회환경’ 마련과 ‘국가가 책임지는 보육지원’을 표방하고 있음.
― 보육정책의 최우선은 영유아의 행복한 삶이어야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가장 밀접한 환경인 부모와 보육교사를 지원하는 체제를 마련하고, 장기적이고 꾸준한 교육시스템을 국가가 책임지고 담당해야 함.
○ 최근 우리나라에서 취업모 증가, 출산율 감소, 이혼율 증가와 같은 가족 변동 및 해체와 경쟁적 분위기를 조장하는 상황들이 영유아에게 부담으로 다가오고, 좌절과 통제 경험이 이전보다 증가하면서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유발하고 심각한 발달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 영유아의 문제행동은 개인 및 가족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의 어려움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도 비용을 유발함. 보건 교육 정신건강 사법체계 분야에 지불되는 비용과 이 과정에서의 생산성 감소, 아동과 가족 나아가 지역사회가 겪는 고통을 추계하면 높은 비용이 발생함(안동현, 2005).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 1부. 총론
Ⅰ. 보육교사 지침서 개발 목적 및 필요성 1
1. 개발의 필요성 1
2. 개발의 목적 3
Ⅱ. 보육교사 지침서 개발 배경 4
1. 보육교사 지침서 개발과정 4
2. 선행연구 분석 6
Ⅲ. 보육교사의 요구 분석 15
1. 문제행동지도 실태 15
2. 보육교사의 요구 24
Ⅳ. 보육교사 지침서 구성 체계 40
1. 총론 및 각론 개요 40
2. 총론의 구성 40
3. 각론의 구성 41
Ⅴ. 보육교사 지침서 활용 및 교육계획안 51
1. 필요성 및 목적 51
2. 추진방법 51
3. 사업기간 및 추진일정 52
4. 사업추진체계 52
5. 사업추진과정 53
6. 교사교육 세부추진내용 53
참고문헌 55
부록 56
부록 1. 보육교사 요구분석 설문지 56
제 2부. 각론 : 기본생활영역
Ⅰ. 「기본생활영역」 문제행동 지도 65
1. 기본생활영역 문제행동의 이해 65
2. 기본생활영역 문제행동 사례목록 69
3. 기본생활영역 교사 지도 방안 70
Ⅱ. 「기본생활영역」 문제행동지도의 실제 73
1. 이유식을 먹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73
2. 젖병을 떼지 못하는 경우 75
3. 공갈젖꼭지에 집착하는 경우 77
4. 편식 : 고기만 먹고 채소를 먹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80
5. 편식 : 과자 등 군것질만 먹는 경우 84
6.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 86
7. 잘 먹지 않거나 먹기 싫으면 입에 물고 있는 경우 89
8. 제자리에서 먹지 않고 돌아다니는 경우 92
9. 스스로 먹지 않는 경우 94
10. 식사예절이 부족한 경우 96
11.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 98
12. 잠을 자는 동안 소변 실수를 자주 하는 경우 104
13. 소변을 참다가 자주 옷에 실수하는 경우 108
14. 어린이집에서 잠자기 어려워하는 경우 111
15. 씻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113
16. 이를 닦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118
17. 지나치게 청결한 경우 122
18. 계절이나 상황에 맞지 않는 옷을 입으려고 하는 경우 124
19. 옷이나 신발을 입고 벗지 못하는 경우 128
20. 스스로 옷이나 신발을 입고 벗는 것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131
21. 자기 물건을 잘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134
22. 정리정돈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137
23. 차례를 지키거나 기다리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 141
24. 어린이집에서 위험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143
25. 어린이집 버스에서 심하게 장난을 치거나 의자에 앉아 있지 않는 경우 146
26.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잘 적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 149
참고문헌 151

제 3부. 각론 : 신체운동발달영역
Ⅰ. 「신체운동발달영역」 문제행동지도 155
1. 신체운동발달영역 문제행동의 이해 155
2. 신체운동발달영역 문제행동 사례 목록 161
3. 신체운동발달영역 교사 지도 방안 162
Ⅱ. 「신체운동발달영역」 문제행동지도의 실제 164
1. 걷지 못하는 경우 164
2. 걸을 수 있는데 걷지 않고 항상 안아달라고 하는 경우 167
3. 엄지, 검지를 쓰지 않고 크레파스를 손 전체로 잡는 경우 171
4. 숟가락을 사용할 때 많이 흘리는 경우 173
5. 블록을 3개 이상 쌓지 못하는 경우 175
6. 다리 힘이 약하여 자전거 페달을 돌리지 못하는 경우 178
7. 점핑(jumping) 등과 같은 대근육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 182
8. 팔의 힘이 약해 공을 던지지 못하는 경우 185
9. 계단, 정글짐과 같은 기구에 오르내리기 힘들어하는 경우 188
10. 가위를 사용해 도형 오리기를 잘 못하는 경우 192
11. 동작이 너무 느린 경우 193
12. 걸음걸이나 뛰는 자세가 불안정하여 자주 넘어지고 부딪히는 아이 196
13. 항상 기대어 앉거나 누워서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 200
14. 움직이기를 싫어하거나 거의 움직임이 없는 아이 203
15. 쉬지 않고 심하게 많이 움직이는 아이 206
16. 눈을 찡그리거나 비비고, 사물을 가까이 보려는 아이 209
17. 코를 자주 파고 킁킁거리는 아이 211
18. 소리를 잘 못 듣는 아이 213
19. 입에서 구취가 나는 경우 215
20. 두통을 자주 호소하는 경우 217
21. 심한 변비 219
22. 잦은 소변(빈뇨) 221
23. 비만인 경우 223
24. 체격이 심하게 왜소한 경우 227
참고문헌 229
부록 230
부록 1. 소아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2007) 230
부록 2. 영유아의 대?소근육 운동발달 232

콘텐츠 큐레이션 : 이 자료와 함께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 직업군이 본 자료

이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성과물 의견 등록
  •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새창)카카오 챗봇 상담
(새탭)대한민국국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 대통령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기획재정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정책브리핑(공감코리아)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대한민국정부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RISM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JOB-ALIO(공공기관채용정보박람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민권익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공공데이터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K-Developpedia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국회도서관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POINT정책정보포털 사이트 바로가기
(새탭)경제e정표 사이트 바로가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