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코로나 세대(Covid-Generation) 아동의 발달 추적 연구 (Ⅰ)

  • 책임자 최윤경
  • 소속기관육아정책연구소
  • 내부연구참여자조숙인,박진아,배윤진,김영민
  • 외부연구참여자정윤정,이기재
  • 발행기관 육아정책연구소
  • ISBN979-11-6865-102-9
  • 출판년도2024
  • 페이지348
  •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사회문제 > 육아·보육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Covid19-Generation Children, Child Development, Developmental Delay
  • □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을 둘러싼 제반 환경과 발달 양상에 다양한 변화가 보고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포스트코로나 아동의 발달 관련 연구가 다수 진행됨.
    - 그러나 코로나19와 아동 발달에 대한 국내외 연구 결과는 표본의 특성과 지역, 검사 시점 및 방법의 차이로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과와 경향성을 보임.
    - 기존 연구에서는 코로나19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과 관계를 확인하기에 조사기간이 짧고 다양한 환경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어려웠던 연구 설계상의 제한점이 있었음.
    -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규모 표본의 실증 연구를 통해 코로나세대 아동의 발달 전반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 본 연구는 5개년(2024~2028년) 과제의 1년차 수행으로, 아동의 코로나19 팬데믹의 경험과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환경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취학전 아동(보육연령 기준 1~5세반)의 발달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본 연구에서 말하는 ‘코로나세대 아동’은 2020년 2월 시작된 글로벌 공중보건위기의 상황을 생애초기 직접적으로 경험한 아동(2018년~2022년 출생)과 WHO의 공중보건위기 종식 선언 이후 변화된 교육·돌봄 환경 하에서 성장하는 포스트코로나 아동 세대(2023년~2026년 출생)를 포괄하여 지칭함.
    - 코로나19에 대한 이질적인 경험을 가진 1~5세반 5개 연령집단 코호트의 아동 발달을 횡적으로 조사 및 축적하여 코로나19 이후의 발달 상황을 파악함.
    □ 1차년도 연구의 주요 목적은 태내기(2020년~2022년생)에 그리고 영유아 보육 기관을 처음 이용할 시기(2018년~2019년생)에 코로나19를 경험한 아동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정서 발달 현황과 가정내돌봄 및 교육·보육 기관 이용 경험 등을 조사하고, 1차년도 코호트 횡단 자료를 구축하는 것임.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