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 및 발달지원 종합 대책 방안(Ⅲ): 장애위험 영유아선별도구 표준화 및 지원모델 개발

  • 책임자 강은진
  • 소속기관육아정책연구소
  • 내부연구참여자박진아,김자연,최윤경,황혜신,서주현,이순행,이남정,김성범
  • 외부연구참여자
  • 발행기관 육아정책연구소
  • ISBN979-11-6865-103-6
  • 출판년도2024
  • 페이지266
  • 보고서유형 협동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교육 > 유아교육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Children at risk, Korean Screening Index for Early Development, Teacher support guide, Parents support guide, ECEC, Infant and young children
  • □ 본 연구는 2022년부터 4년간 어린이집과 유치원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는 협동연구로, 향후 실태 조사, 선별·진단 문항 개발, 교사·부모 역량 강화, 사용안내서 개발, 지역 협력 사업,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을 계획함.
    □ 3차년도 연구는 1차년도와 2차년도에 개발한 교사용 및 부모용 장애위험 영유아 발달선별도구의 평가규준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표준화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친화적인 도구와 사용안내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또한, 표준화된 도구로 장애위험 영유아를 선별하고, 지원 서비스 전달체계와 지역사회 자원의 협력지원체계 모델(안)을 시범 운영을 통해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음.
    - 신체, 언어, 사회․정서, 인지 등 발달영역 중 어느 일부가 또래에 비해 늦은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했을 때 발달지연이나 장애로 이어질 요인이 있는 위험군을 장애위험 영유아(children at risk for disabilities)라고 정의(강은진 외, 2022; 이소현․박은혜, 2022; 정대영 외, 2017)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