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섬·어촌 관계인구 특성 및 활용방안 연구

보고서명(영문)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Popul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in Island and Fishing Villages

  • 책임자 박상우
  • 소속기관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내부연구참여자이호림,이채완,황재희,이승혜
  • 외부연구참여자송미령,성주인,김광선,정도채,구자춘,권인혜,유서영
  •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ISBNISBN 979-11-5567-775-9
  • 출판년도2023
  • 페이지186
  • 보고서유형 협동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종합일반 > 종합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관계인구, 유토피아, 농어촌 유토피아, 농어촌 관계인구, 농어촌 모바일 인구이동 데이터, 관계인구 수요, 관계인구 특성
  • 수도권에 전체인구의 절반이상이 집중되면서 국토외곽지역에 위치한 어촌은 저출산·초고령화 심화로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국토의 4.4배에 달하는 바다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어촌주민들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0.5%에 불과하지만, 사회·경제적 불리성으로 인하여 여전히 인구유입의 한계, 일자리 문제, 초고령화, 초저출산, 낮은 삶의 질 여건 등 악순환이 되풀이 되어 지역소멸에 직면해 있다. 최근 섬·어촌은 도시 청년을 중심으로 한 주 살기, 한 달 살기, 워케이션(Work+Vacation) 등 지역에 관계를 맺는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속도로, KTX 등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국민의 여가수요 충족, 주5일제 근무 변화 등으로 지역과 관계성을 갖는 활동이 가속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특히 섬·어촌지역의 입지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관계인구 활용방안을 수립하였다. 제1장은 연구배경과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연구 범위를 한정하고,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을 구성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도 제시하였다.제2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인구이동 데이터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섬·어촌 관계인구의 수요 및 특성을 분석하여 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였으며, 해역별 심층분석 수행을 통해 관계인구의 관계맺음의 형태를 정리하였다.제3장은 관계인구 정책 사업화 사례인 「어촌신활력중진사업」과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제시하는 목표와 정책 구성 요소 등을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사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끝으로 제4장은 각 장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섬·어촌 활성화를 위한 관계인구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추진체계 및 정책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키워드: 관계인구, 유토피아, 농어촌 유토피아, 농어촌 관계인구, 농어촌 모바일 인구이동 데이터, 관계인구 수요, 관계인구 특성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