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동향
연구보고서
2주기 북한배경청소년 교육 종단연구(VI)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NKIS 정보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이용 시,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NKIS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국문초록
- 이 연구는 지난 5년간의 면담내용을 기초로 북한배경청소년의 교육적성장과 사회통합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의 교육적성장과 사회통합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북한배경청소년 교육 종단연구 2주기 6차년도 연구인 본 연구는 1차년도의 연구설계에 따라 2차년도부터 6차년도까지 진행된 5년간의 면담내 용을 기초로 면담에 참여한 각 북한배경청소년들의 삶의 여정과 최근 현황, 교육적 성장 양상, 사회통합 양상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북한배경청소년들의 교육적 성장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한국사회와 학교에서의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그들의 교육적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교육적 성장의 개념은 존 듀이의 연구를 참고하여 도출한 것이다. 듀이는 교육을 “지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이라고 정의했는데(Dewey, 1916: 52),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초로 교육적 성장을 “활동 과정에서 현재 상황에 대해 성찰하는 가운데 경험의 방향을 스스로 설정해 나가는 과정”으로 정의했다(김정원 외, 2018: 205). 이런 입장은 교육적 성장을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으로 보는 것과 다른 것인데, 본 연구는 교육적 성장과 관련하여 학습자가 경험에 대한 성찰 속에서 어떤 태도를 형성 하여 어떻게 자신의 삶과 경험의 방향을 결정해나가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북한배경청소년들의 삶과 사회통합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통합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사회통합의 개념으로는 Social Cohesion이 적당하다고 판단하여 그 의미를 활용하였는데, Social Cohesion은 사회의 유연성과 관용 성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개인을 수용하는 사회통합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북한 배경청소년 교육의 지향점과 부합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