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성과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역할 강화를 위한 글로벌 사우스 협력 전략연구: 글로벌 사우스의 지역별 현황과 협력과제

보고서명(영문)

A Strategic Study on Cooperation with the Global South to Strengthen the Role of a Global Pivotal State: Regional Dynamics and Cooperation Agendas in the Global South

  • 책임자 권율
  • 소속기관대외경제정책연구원
  • 공동책임자 김경찬
  • 내부연구참여자최인아,강문수,문지영,나수엽,오태현,박미숙,송지혜,유애라,김예진,김영현
  • 외부연구참여자이종규,채단비,이승은,김보전,강선경,현승원,박번순,오윤아,임원혁,최우진,박환일,권소현,최정환,박병열,나정현,장하준
  •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ISBN979-11-5567-765-0
  • 출판년도2024
  • 페이지414
  • 보고서유형 협동연구보고서
  • 연구유형 정책
  • 표준분류 국제통상 및 외교안보 > 국제통상 및 외교안보일반
  • 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공공누리유형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주제어글로벌 사우스, 신흥경제국, 개발협력, 남남협력, 소다자 협의체, 브릭스 정상회의
  • 조회수

    조회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428
  • 다운로드

    다운로드 수 반영까지 최대 1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39
  • 본 연구는 지역·국가별 분석을 통해 주요국의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협력전략과 지역별 글로벌 사우스 거점국가들의 대응방향을 도출하고, 지역별 개발수요와 협력과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국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을 인식하고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미국은 주요 개발도상국과의 경제안보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G7 차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강조하는 글로벌 사우스 개발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여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관계를 증진하고, 기존 양자 협력 중심의 개발도상국 전략을 글로벌 사우스 차원의 체계적인 협력으로 확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개발도상국과의 다층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글로벌 복합위기로 서방 중심의 국제질서가 약화됨에 따라 신흥경제국(EMEs)을 중심으로 BRICS 정상회의를 통해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정부는 글로벌 사우스 거점국가의 목표와 전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양자, 삼자, 다자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도,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등 글로벌 사우스의 지역별 거점국가를 중심으로 주요 대외정책과 외교전략을 분석하고, 대규모 경제와 인구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정책방향을 검토하였다. 지역별 신흥경제국(EMEs)인 주요 거점 국가들은 패권 경쟁 속 균형 외교를 추진하면 전략적 자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공통적으로 G20을 활용해 국제사회 개혁을 촉구하고, 다양한 개발 관련 주요 의제를 통해 남남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주도의 소다자 협의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으며 글로벌 사우스의 연대 강화를 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더불어 한국정부는 복합위기가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력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한국의 공적개발원조가 빠르게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는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해 각 지역의 특성과 협력 수요를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는 많은 개발도상국이 공통적인 개발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 및 국가별로 우선순위와 성장경로가 달라 중단기적 협력 수요 분야가 상이하므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한국의 협력 사례와 개선과제를 검토하였다. 앞으로 글로벌 사우스의 주요국은 한국의 경제성장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특정 어젠다를 선도하고자 할 때, 독자적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기반 확대를 위해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제고하고, 다극화하고 있는 국제질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사우스와의 포용적인 협력외교를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키워드 : 글로벌 사우스, 신흥경제국, 개발협력, 남남협력, 소다자 협의체, 브릭스 정상회의

콘텐츠 큐레이션 :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

의견(0)

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입력 가능 Byte :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 0 Byte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